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장기 연체자 구제를 위해 정부가 설립한 '새도약기금'이 출범 한 달을 맞았지만 정작 핵심인 대부업체들의 참여가 저조해 난항을 겪고 있다.

3일 금융권과 연합뉴스 보도 등에 따르면 새도약기금 출범 이후 한 달간 협약에 참여한 대부업체는 12곳에 불과하다. 이 중 상위 10개사는 단 1곳, 상위 30곳으로 넓혀도 4곳뿐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가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실에 제출한 가입 현황에 따르면 협약 가입 업체 중 상위 30위권 업체 4곳이 보유한 새도약기금 매각대상 채권(7년 이상·5천만원 이하) 규모는 5800억원대로 추정되며, 대부업권 전체 연체 채권(약 6조7000억원)의 8% 수준에 불과하다.

앞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0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상위 10개사가 협조 의사를 밝혔다"고 언급했지만 현실은 기대와 다르다는 지적이다. 자율 협약 방식으로 강제 수단이 없다 보니 상위 업체들이 참여를 미루며 대부업체들의 협약 가입이 좀처럼 이뤄지지 않는 현실이다.

대부업체들은 보유한 연체 채권의 매입가가 액면가의 최소 25% 수준이라며 정부가 제시한 매입가율(5%)이 지나치게 낮다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업계가 협약 참여 전 최대한의 인센티브를 얻기 위해 정부와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대부업 시장은 2021년 법정 최고금리 인하 시기를 거쳐 코로나19 시기 연체 채권 매입 제한 등으로 규모가 위축돼왔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실제 대부업 이용자는 2022년 말 98만9000명에서 지난해 말 70만8000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유인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연체 채권을 매각한 업체의 은행 차입을 허용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부업체들이 협약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의미한 인센티브를 준비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설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