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전근홍 기자 |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소유율은 역대 최저로 30대 가구주 4명 중 1명만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다. 집값 급등과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 결혼 및 독립 시기 지연 등이 맞물린 결과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30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전년보다 1만7215가구 증가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감소했다가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왔다. 특히 증가 규모는 2021년 이후 급격히 커지며 지난해 최대 폭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의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18만3456가구로 전년 대비 7893가구 줄었으며, 통계 작성 이래 최저 수준이다. 무주택 가구는 주택 소유 가구보다 2.9배 많아 격차 역시 최대 폭으로 벌어졌다.
이 같은 흐름 속에 서울 30대의 주택 소유율은 25.8%로 떨어져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