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산업통상자원부의 국내 주요 유통업체 매출 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온라인 패션·의류 부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8% 감소했다. 이는 올해 들어 감소 폭이 가장 큰 수치다.
월간 온라인 패션·의류 부문 매출 증가율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9개월 연속 마이너스권에 머물렀다. 앞서 산업부는 백화점(롯데·현대·신세계),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편의점(GS25·CU·세븐일레븐), SSM(이마트에브리데이·롯데슈퍼·GS더프레시·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 13곳과 SSG, 쿠팡, 11번가 등 10개 온라인 유통사의 매출 동향을 집계해 매달 발표한다.
오프라인 유통 시장이 정체기를 맞은 것과 달리 그간 쿠팡을 필두로 한 국내 온라인 유통 시장은 폭넓은 부문에서 탄탄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는 부분에서 패션·의류 부문의 장기 역성장 현상이 강하게 도드라진다.

업계에서는 알리익스프레스를 비롯한 중국 이머커스 플랫폼 이용자수가 늘어나면서 저가 의류의 수입이 대폭 늘어났다고 분석한다. 이에 국내 온라인 패션·의류 시장 소비가 감소하는 흐름이 나타났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앱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중국계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1∼7월 누적 결제 추정액은 2조2938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금액(2조3227억원)과 유사하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국내 이용자수는 무려 1600만명 이상으로 파악됐다.
현행 해외 플랫폼에서 직접구매(직구)를 할 때 면세 한도는 150달러로 중저가 의류가 대표적인 수혜 대상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오프라인에서도 국내 패션 시장 위축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올해 8월 백화점 전체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4% 증가했지만, 여성정장 품목만 유일하게 4.9% 줄어들었다.
남성의류와 해외 유명 브랜드의 매출 증가율도 각각 0.2%, 1.1%로, 전체 증가율에 크게 못 미쳤다.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국내 패션 산업 위축은 각 기업의 실적 둔화로 이어지고 있다.
삼성물산의 지난 2분기(4∼6월)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130억원, 52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간 보다 각각 2.1%, 8.8% 감소했다. 같은 기간 한섬, 신세계인터내셔날, 코오롱인더스트리 FnC부문, F&F의 매출도 각각 1.2%, 3.9%, 1%, 3.5% 감소했다.
향후 중국과 비교해 원가 경쟁력에서 불리한 중저가 패션의류 시장에서 특히 한국 기업들이 겪는 어려움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레이 장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대표는 지난달 3일 중국 항저우 본사 기자 간담회에서 "3∼5년 내 목표는 (한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고객의 절반 이상이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의 이커머스 이용자 수는 약 3400만명으로 추산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2027년 이후 이 중 절반인 1700만명을 고객으로 확보하겠다는 목표치를 제시한 것이다.
홍선혜 기자 sunred@smartf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