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전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티몬·위메프 사태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진행했다. 회의에서는 지난달 29일 발표한 대책의 이행상황을 점검했다.
현재까지 금융감독원이 파악한 티몬·위메프의 판매대금 미정산 규모는 지난달 25일 2134억에서 지난달 31일 2745억원으로 약 600억원 가량 불어났다.
아직 파악하지 못한 6~7월 거래분까지 예측하면 피해금액은 3배 이상 뛸 것으로 보인다. 현재(2645억원)보다 3배 많은 8000억원을 훌쩍 웃돌면서 1조원에 육박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총 5600억원의 유동성도 신속히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소비자들은 티몬·위메프 대신, 카드사·PG사에 직접 카드결제 취소·환불을 신청할 수 있다.
정부는 상품권·공연업계, 농식품 판매업체, 휴대전화 소액결제 등에 대해서도 미정산 현황을 점검하고, 필요시 소비자·판매자 지원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추가 대응 방안 및 제도개선 방향'을 조만간 마련해 발표한다.
판매사 정산대금을 쌈짓돈처럼 굴릴 수 없도록 에스크로(결제대금예치)를 전면 도입하고 판매대금 정산주기를 단축하는 방안이 유력한 개선책으로 꼽힌다.
홍선혜 기자 sunred@smartfn.co.kr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