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 "공 러시아 쪽에"…美, 정보공유·안보지원 재개
젤렌스키 "우린 준비됐다…러 동의하면 휴전 즉각 효력 발휘"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11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침공 이후 지속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30일 휴전'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남은 관건은 러시아의 호응이 될 것으로 보인다.

평화 협상 중재자로 나선 미국이 러시아와 금명간 당국자간 협의, 주중 정상간 전화 통화 등을 통해 러시아의 휴전안 수용을 설득할 예정이다. 러시아가 휴전안에 동의하면 2022년 2월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잠정적으로나마 처음 멈추게 된다.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협상단이 고위급 회담을 갖고 러-우 전쟁의 '30일 휴전'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사진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왼쪽 두번재),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왼쪽),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오른쪽 세번재), 안드리 예르막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실장(오른쪽 두번째), 러스템 우메로프토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오른쪽)이 사우디 외무장관 파이살 빈 파르한(왼쪽 세번째)과 국가안보보좌관 모사드 빈 모하마드 알 아이반(가운데)이 회담을 갖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협상단이 고위급 회담을 갖고 러-우 전쟁의 '30일 휴전'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사진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왼쪽 두번재),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왼쪽),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오른쪽 세번재), 안드리 예르막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실장(오른쪽 두번째), 러스템 우메로프토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오른쪽)이 사우디 외무장관 파이살 빈 파르한(왼쪽 세번째)과 국가안보보좌관 모사드 빈 모하마드 알 아이반(가운데)이 회담을 갖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양국 협상단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9시간에 걸쳐 고위급 회담을 갖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연합뉴스 등이 보도했다.

양국은 성명에서 "우크라이나는 미국이 제안한 즉각적인 30일간의 임시 휴전을 수락할 준비가 됐으며, 이는 당ㅇ사자들의 상호 합의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며 "이는 러시아의 수락과 이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러시아의 상호주의가 평화 달성의 열쇠라는 점을 러시아에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미국은 정보 공유 중단을 즉시 해제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지원(무기지원)을 재개하겠다"고 약속했다.

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장기적 안보를 보장하고 우크라이나 광물 자원 개발을 위한 포괄적 협정을 가능한 빨리 체결하는 데 합의했다고 성명에서 강조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전쟁 포로 교환, 민간인 수감자 석방, 러시아로 강제 이송된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의 귀국 등의 방안도 논의됐다.

양국은 "협상팀을 꾸려 우크라이나에 장기적 안보를 제공할 지속적 평화를 위한 협의를 즉각 시작하기로 했다"며 "미국은 러시아와 이런 구체적 제안을 논의하기로 약속했으며 우크라이나는 유럽의 파트너들이 '평화 프로세스'에 참여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고 말했다.

공동성명 발표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제 우리는 (휴전안 수용을 설득하기 위해) 러시아로 가야 한다"며 "푸틴(러시아 대통령)도 (휴전안에) 동의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미국과 러시아 당국자가 11일 또는 12일 만날 것"이라며 합의에 도달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언론들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 관여해온 트럼프 대통령 측근 스티브 위트코프 백악관 중동특사가 조만간 러시아를 방문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탱고를 추려면 두 사람이 필요하다"며 러시아의 호응을 촉구하면서 자신이 이번 주 중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회동 결과가 알려진 후 성명에서 미국이 제시한 30일 일시 휴전안을 두고 "(휴전) 제안을 받아들일 준비가 됐다"라며 "이제 러시아가 같은 일을 하도록 설득하는 일은 미국의 몫이고, 러시아가 동의하면 휴전은 즉각 효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밝혔다.

휴전안을 러시아가 수용할 경우, 휴전 기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미국의 중재 하에 개전 이후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의 처리 문제, 러시아의 재침공을 예방하기 위한 대우크라이나 안전보장 방안 등을 놓고 종전 협상의 절차에 들어가게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