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경제전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의 갑작스러운 별세 비보를 전하면서 삼성전자가 최근 직면하고 있는 경영 여건 악화 상황을 집중 조명했다.

WSJ는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칩 경쟁에서 뒤처진 상황이라며 "테크 업계에 AI 붐이 일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최근 몇 년 새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를 앞질러 엔비디아의 초기 공급업체가 됐고, 애플은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삼성전자를 제치고 스마트폰 출하량 1위를 차지했으며, TSMC는 첨단 칩 제조 분야에서 우위를 확장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또한 이어 신문은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삼성전자는 반도체법 보조금과 연계해 미 텍사스에 수십조원의 반도체 시설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로 정권이 바뀌면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내용도 빼놓지 않았다.
중국 반도체 기업의 추격도 삼성전자에게는 위협이 된다. 중국의 SMIC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에서 세계 3위에 오르며 2위인 삼성전자를 빠짝 쫓고 있다.
특히 WSJ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삼성은 죽느냐 사느냐 하는 생존의 문제에 직면했다"라고 한 발언을 소개하며 이 같은 메시지가 작금의 삼성전자를 둘러싼 경영 상황을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삼성전자가 난관을 헤치고 나갈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중국 시장조사업체 시노(CINNO)의 리우위시 선임 애널리스트는 WSJ에 삼성전자가 여전히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핵심기술에 투자할 수 있는 재정적 역량을 갖추고 있다면서 "현재 나오는 생존 위기라는 얘기는 즉각적인 생존 위협에 직면했다기보다는 내부적인 위기의식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