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책임론을 두고 한동안 잠잠했던 갈등이 다시 불거지는 양상이다.

일각에서는 분당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다. 윤 대통령의 비상 계엄령 선포 직후부터 불거진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의 대립이 조기 대선 정국을 맞아 심화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윤석열 전 대통령. /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은 기각돼야 한다"고 주장해온 국민의힘은 이날 헌재의 파면 선고 직후 국민들께 고개를 숙였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준비된 입장문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안타깝지만 국민의힘은 헌재의 결정을 무겁게 받아들이며 겸허하게 수용한다"고 말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긴급 의원총회에서 “너무나 마음이 무겁고 착잡하다”며 “국민 여러분께 대단히 송구하다”고 했다.

하지만 이후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비공개로 전환된 총회에서는 헌재의 결정을 비판하고, 찬핵 찬성파 의원들을 향해 날선 발언을 쏟아낸 의원들도 있었다.

국민의힘 관계자에 따르면 '의원탄핵 찬성 의원들에 대해서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의견, '조기 대선 후보를 내지 말자'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은 앞서 열린 4.2 재보선에서 참패에 가까운 성적표를 받았다. 기초단체장 5곳 중 4곳을 야당에 내줬다. 유일한 광역 단위 선거였던 부산시교육감 선거에서도 친윤계 후보가 진보 진영 후보에게 패했다.

당내에서 '탄핵에 반대해온 강성 지지층에만 기댄 전략으로는 조기 대선을 치를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윤 대통령 파면까지 겹치면서 친윤과 비윤 세력간 공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신지호 전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은 지난달 "윤 대통령이 파면되더라도 상왕 정치를 통해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신 전 부총장은 대표적인 친한계 인물이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이기기 위해서라면 힘을 합쳐야 한다는 화합론이 없는 것은 아니다.

박정훈 의원은 최근 "한쪽에서는 윤석열이 밉다고 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한동훈이 더 밉다고 한다. 이런 갈등은 '이재명 집권'의 자양분이 된다"며 "더 큰 가치인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동지에 대한 미움을 거두자"고 제안했다.

한 친윤계 초선 의원은 "이 대표의 2심 무죄 판결 이후 당내에서 분열이 아닌 화합을 추구해야 한다는 인식이 커졌다"며 "지금은 서로 충돌할 게 아니라 야당의 폭주에 함께 맞서 싸워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파면 선고의 후폭풍 속에서 숨고르기를 하며 대선 체제로의 전환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당 지도부는 보수 지지층의 결속을 다지고 내부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신중한 행보를 보인다는 방침이다.

계파 갈등 확산 여부는 향후 정치적 상황과 당내 역학 관계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국민의힘이 위기를 극복하고 단일 대오를 유지할지, 아니면 보수 진영의 새로운 정계 개편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