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절차 준비 숨기고 채권 발행한 사기 등 혐의
금융위, 홈플러스·MBK 사기적 부당거래 혐의 검찰 이첩
MBK 김병주 회장 고소한 홈플러스 채권 피해자들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홈플러스의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과 관련해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하기에 앞서 기자회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홈플러스의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과 관련해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하기에 앞서 기자회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홈플러스 단기채권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를 대상으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금융당국으로부터 패스트트랙(긴급 조치) 형식으로 사건을 넘겨받은 지 일주일 만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이승학)는 28일 서울 강서구 소재 홈플러스 본사와 서울 종로구 광화문 MBK파트너스 사옥, 의혹 관련자 주거지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 등 관계자 주거지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대형 유통업체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 경영진 등이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하고서도 이를 숨기고 단기채권을 발행한 것으로 보고 사기 등 혐의를 수사 중이다.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의 대주주다.

기업회생이 신청되면 금융채무가 동결되기 때문에 회생 신청을 준비하면서 채권 등을 발행할 경우 투자자를 기망하는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받을 수 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21일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 경영진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긴급조치(패스트트랙) 방식으로 검찰에 사건을 넘겼다. 이후 검찰 수사가 본격화했다.

검찰의 통보 대상에는 김병주 MBK 회장을 비롯해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는 지난 2월 28일 신용등급이 'A3'에서 'A3-' 강등된 이후 회생절차를 진행했다는 주장을 거짓이라고 판단했다. 실제로 신용등급이 강등되기 직전인 2월 25일, 홈플러스는 820억 원 규모의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해 논란을 빚었다.

이에 따라 검찰은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 1차 통보를 받은 2월 25일 이전에 이를 알고서도 채권을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기려 한 것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이 일단락되는 대로 김병주 MBK 회장,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 등 경영진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한편 MBK파트너스는 지난 24일 고려아연과 영풍·MBK 파트너스의 경영권 분쟁 사건과 관련해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로부터 압수수색을 받은 바 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