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재활용, 새로운 기회로 주목
자원순환체계 구축으로 자원안보 확보
전기차 확산과 함께 배터리 재활용 산업이 새로운 기회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세계적으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증가가 예상되면서 일부 국가에서는 자원 안보를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추진하는 등 자원순환체계 구축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전기차(EV)와 태양광 패널 등 신에너지 제품의 수명 주기가 끝난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순환 경제를 강화하며 미국과의 무역전쟁 속에서 자원 안보를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다.
중국은 수명 주기가 끝나는 배터리와 태양 전지판이 늘어가면서 기업들이 재료를 재사용하고 신제품에 재도입하는 순환 경제를 수용하고 있다.

두환정 상하이 퉁지대학교 순환경제전문 교수는 "광물의 재활용은 주로 자원 안보를 위한 것"이라며 "과거 중국이 오염문제 해결에 초첨을 뒀지만 재활용 노력을 강화하면서 새로운 경제 성장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도 IRA(인플레이션감축법)와 DOE 보조금 등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에 힘을 쏟고 있었다. 북미 내 자립형 공급망을 형성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함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이후 IRA를 통한 보조금 혜택이 줄어드는 등 산업군 위축으로 자원순환 체계 구축에서 한 발 멀어진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는 ▲2025년 3조원 ▲2030년 70조원 ▲2040년 230조원 ▲2050년 600조원으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매년 약 33%의 성장률을 보이는 셈이다.
주목받는 배터리 자원순환체계…한국은?
한국도 관련 정책을 내놓고 있다. ▲사용 후 배터리에서 회수한 니켈·코발트 등에 대한 인증 제도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기능 탑재 EV에 추가 보조금 지급 ▲광역 사용 후 배터리 수거체계 구축 등으로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단순히 환경 보호가 아닌 '핵심 광물 확보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한국 정부의 이같은 인프라 확보의 이유로는 국내 기업들의 기술 상용화와 고부가 소재에 진출을 유도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국내 기업들도 재활용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달 29일 프랑스 데리시부르그(DBG)와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JV)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해당 법인은 2027년 가동을 시작해 연 2만t 이상의 사용 후 배터리와 '스크랩'(배터리 불량품과 양극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처리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전문기업 성일하이텍도 유럽 및 동남아 시장에 진출해 '도시광산' 개념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제조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경우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과 관련해 중국 화유코발트와 공동 투자해 포스코HY클린메탈을 2021년 설립했다. 포스코HY클린메탈은 폐기부품 수거부터 블랙매스(사용 후 배터리를 분쇄한 가루) 제조, 원료 추출까지 전 과정을 자사에서 담당하는 수직통합 구조를 구축했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사업은 미래 성장 동력의 한 축을 이룰 것이고 자원 안보 또한 함께 따라오는 것"이라며 "기술력을 확보한 기업을 중심으로 선별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