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외 농림축산식품부, 해수부 등 부처 당국자 참석

한미 정부간 실무 통상 협의가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사흘 일정으로 진행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품목별·개별국가 상호 관세 문제를 조율하기 위한 협의다.
장성길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정책국장이 이끄는 정부 대표단은 현지시간 20일 미국에 도착해 미 무역대표부(USTR) 관계자 등과 제2차 기술협의를 진행중이라고 소식통이 전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30일부터 5월1일까지 워싱턴에서 열린 1차 기술협의 이후 19일만에 진행된다. 한국 측은 산업부 외에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외교부, 기획재정부 등 유관 부처 당국자들이 참석했고, 미국도 USTR을 포함한 관계 부처 당국자들이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22일까지 열리는 이번 기술협의는 6·3 대통령 선거를 거쳐 한국 새 정부가 출범하기 전 관세와 무역을 주제로 한 마지막 한미 간 대면 협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지난 16일 제주에서 열린 한미 통상 담당 장관급 협의에서 합의한 대로 균형 무역, 비관세 조치, 경제 안보, 디지털 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등 6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에 대해 책정한 25%의 상호관세(기본관세 10%+국가별 차등적용 관세 15%·7월8일까지는 10%의 기본관세만 부과)와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하고 있는 철강·알루미늄·자동차(이상 25%) 등 품목별 관세를 최대한 낮추는 것이 한국 정부의 협상 목표다.
이 같은 목표하에, 한국 측은 미국산 수입 확대를 통한 무역 균형 추구 의지와 미국 측이 관심을 보이는 조선 중심의 전략적인 한미 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관세 인하 및 면제의 당위성을 역설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측은 관세를 낮추기 위해 한국이 '비관세 장벽' 제거와,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를 통한 무역흑자 축소를 해야 한다는 입장 하에, 구체적 요구 사항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