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주요 인사들이 9월 이전에 금리를 인하할 준비가 돼 있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불확실한 경제 여건 속에서 무역정책의 향방이 명확해질 때까지 추가적인 데이터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시장은 6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10% 미만으로 보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존 윌리엄스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모기지은행협회(MBA) 컨퍼런스에서 "7월까지는 현재 상황을 완전히 파악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황 전개를 지켜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분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 결정이 내려지지 않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연준의 올해 회의는 6월, 7월, 9월, 10월, 12월에 예정돼 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연은 총재 역시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무역 협상이 장기화된다면 그 영향이 여름까지 이어질 수 있고, 그 여파를 확인하려면 몇 개월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스틱 총재는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 기대 심리에 대한 우려를 보였다. 그는 "연준이 맡은 두 가지 책무(완전 고용과 물가 안정)의 흐름을 고려할 때, 인플레이션 측면에 대한 우려가 크다"며 "이는 기대 인플레이션이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연준의 현재 통화정책이 "매우 적절한 위치"에 있다며, '관망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연은 총재도 "헤쳐가야 할 불확실성이 매우 많다"며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전 까지는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연준은 지난 5월 초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 및 관세 조치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을 주된 이유로 제시한 바 있다. 최근 미국 정부는 중국과 관세 인하에 합의했으며 주요 교역국과의 협상도 진행 중이다.
한편, 블룸버그는 투자자들이 6월 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을 10% 미만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 한국무역협회, 美 핵심광물 조사 의견서 제출···한국산 제외 요청
-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 전립선암 진단···트럼프 "쾌유 빈다"
- [주간금융] 금융권 이재명 지지 선언···롯데손보 결국 콜옵션 철회
- "美, 中 반도체 기업 추가 제재 검토···관세협상 고려 적용 시점 논의 중"
- "영원한 적은 없다" 트럼프, 중동서 과감한 실리외교 보여
- 푸틴, 이스탄불 회담 불참···젤렌스키 직접 대면 불발
- 미 연준 기준금리 동결···"관세 불확실성 커져"
- 한미, 관세 조율 위한 2차실무협의 돌입···22일까지 워싱턴서 진행
- 트럼프, EU 관세 부과 7월 9일까지 연기···유럽 선물지수 상승
- 美항소법원 "판결 때까지 트럼프관세 부과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