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빅테크 가교 역할로 '오일머니' 확보 기회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과 악수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사진=연합뉴스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과 악수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사우디에서 열린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이란과 관련해 나는 영원한 적이 있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13∼15일(현지시간) 중동 3개국(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아랍에미리트) 순방에서 드러난 집권 2기 트럼프 외교의 주제를 보이는 말이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사우디 방문 중 트럼프 대통령이 작년 말 붕괴한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 시절 친러시아, 친이란 노선을 펴며 미국의 큰 골칫거리로 자리해온 시리아에 대해 제재 중단을 결정했다. 미국이 테러리스트로 지정해 1000만 달러(약 140억원)의 현상금까지 걸었던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과 14일 회동했다. 알샤라 대통령은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단체 알카에다의 연계 조직인 알누스라 전선을 이끌었던 지하디스트(이슬람 성전주의자)다.

집권 1기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3차례 만났던 '파격 외교' 양태가 집권 2기에서도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기존 외교 문법에 구애받지 않고, 상대의 '과거'보다는 상대가 지금 가진 것에 집중하는 트럼프의 과감한 실리 외교를 보여줬다.

트럼프의 대시리아 관계 정상화 행보는 시아파 이슬람 종주국인 이란과 각을 세우고 있는 사우디를 비롯한 걸프 국가들의 안보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다.

또한 적성국가로 맞서온 시리아와의 관계 개선으로 미국의 숙적인 이란, 북한과의 관계도 변화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북한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완전한 비핵화를 요구하는 대신 일부 핵무기 보유를 사실상 인정하면서 미국에 위협이 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일부 무기체계를 제한하는 조건으로 대북 제재를 해제하는 '거래'를 제안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2기 들어 북한에 대해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무기를 가진 나라)라는 표현을 잇달아 사용하며 북한이 핵무기를 가진 현실을 인정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 바 있다.

미국-사우디 투자포럼 참석한 트럼프와 미측 인사들 /사진=연합뉴스
미국-사우디 투자포럼 참석한 트럼프와 미측 인사들 /사진=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순방 기간 각 순방국으로부터 거액의 대미 투자와 미국산 제품 수입을 얻어내고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경제-안보 패키지 합의'를 도출했다.

백악관은 대미 투자 유치 등 경제협력의 규모에 대해 사우디 관련 6000억달러(약 840조원), 카타르 관련 1조2000억달러(약 1680조원), 아랍에미리트(UAE) 관련 1조4000억달러(약 2000조원) 등이라고 거론했다.

다만 이런 수치가 실제 내역보다 '부풀리기'였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럼에도 인공지능(AI) 관련 인프라 구축 등에 거대 자본이 필요한 실리콘밸리 기업 최고경영자(CEO) 등 재계 인사들에게 '오일 머니'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13일 열린 사우디-미국 투자포럼에는 AI 관련 기업인 중 샘 올트먼 오픈 AI CEO,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리사 수 AMD CEO, 알렉스 카프 팔란티어 CEO 등이 참석했다. 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루스 포랏 구글 회장 겸 최고투자담당자, 앤디 재시 아마존 CEO, 우버 공동설립자 트래비스 캘러닉과 게임 기업 에픽게임즈의 팀 스위니 CEO도 자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