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 관세 협상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제재 적용 시점은 아직 의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수 소식통의 말을 인용한 FT는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중국의 메모리반도체 업체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 등을 미국 업체와 거래를 금지하는 수출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BIS가 작성한 초안에 따르면 CXMT 외에도 중국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SMIC(중신궈지)와 메모리반도체 회사 YMTC(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의 자회사들도 제재 검토 대상에 포함됐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SMIC와 YMTC 본사는 현재 미국의 수출 금지 기업으로 지정된 상태다.
FT는 다만 추가 제재 적용 시점을 두고는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서 의견이 갈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는 중국의 핵심 반도체 기업들을 제재 목록에 추가하는 것이 앞으로 중국과의 협상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우려를 보였다. 대중 강경파들은 중국 반도체 기술에 대한 견제를 더는 늦춰서는 안 된다고 주장해 의견이 갈리는 상황이다.
대중 강경파들은 최근 전 세계 D램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늘려가고 있는 CXMT를 제재 대상에 포함할 것을 지속 주장했다. CXMT는 최근에는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도 개발을 진행 중이다.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정부의 제재 대상에 포함된다면 미국 업체들은 정부의 허가 없이 이들 기업과 거래를 할 수 없다.
- 한미 산업장관 양자회담 열려···관세 협상 진전될까
- '미래 성장 강화'···SK, 반도체·AI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 "갤럭시 S25 흥행 이어 간다" 삼성 모바일 2분기 전략 키워드는 '엣지'
- 삼성전자, 2분기 엔비디아 HBM3E 납품할까? "주요 고객사 샘플 공급"
- SK하이닉스, HBM 성장세로 트럼프발 불확실성 정면 돌파
- AMD, 사우디 AI 데이터 센터 진출···‘휴메인’과 100억달러 규모 협업 발표
- 중동 '데이터센터' 설립에 활짝 웃는 '韓 기업···'수혜 1위는 삼성전자?
- 젠슨 황 "엔비디아 AI 인프라 기업"···韓 HBM 제조사 기회 확대 전망
- 연준 인사들 "9월 전 금리 인하 가능성 낮아"···시장 기대도 ↓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SK하이닉스 부스서 "HBM4 잘 지원해달라"
- "SK하이닉스, HBM 과반 점유···삼성전자·마이크론 수율 확보해야"
- 트럼프·하버드 '갈등' 심화 ···美 정부, "하버드 유학생 등록 못해"
- 트럼프, EU 50% 관세 "7월9일까지 유예"
- 오픈AI, 한국법인 공식 설립···"대한민국 챗GPT 이용률 매우 높아"
- 구글까지 TSMC로···삼성 파운드리의 미래는?
- SK하이닉스, 1분기 D램 시장 점유율 1위···삼성전자 추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