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선점 효과 등으로 올해 1분기에 삼성전자를 제치고 글로벌 D램 시장 1위에 올랐다.
3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4분기 글로벌 D램 업계의 매출 규모는 전 분기보다 5.5% 감소한 270억1000만달러(약 37조원)로 집계됐다. D램 계약 가격 하락과 HBM 출하량 감소에 따른 결과라는 업계의 분석이다.
SK하이닉스는 출하량 감소로 전 분기보다 매출이 97억2000만달러로 7.1% 줄었으나, 분기 기준으로 처음 D램 시장 1위를 차지했다. 고부가 제품인 HBM3E 출하량 비중이 증가한 영향이다.
SK하이닉스 점유율은 작년 4분기 36.6%에서 36%로 소폭 하락했으나, 삼성전자 점유율이 39.3%에서 33.7%로 더 크게 내리면서 삼성전자를 제쳤다.
D램 점유율에서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앞선 것은 처음이다. 두 회사 점유율은 작년 1분기에는 삼성전자 43.9%, SK하이닉스 31.1%로 10%포인트 이상 차이 났다.

연합뉴스 등 보도에 따르면, 앞서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집계한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에서도 올해 1분기에 SK하이닉스 36%, 삼성전자 34%로 SK하이닉스가 앞섰다.
삼성전자는 매출이 전 분기보다 19.1% 줄어든 91억달러를 기록하며 2위로 내려갔다.
이는 HBM을 중국에 직접 판매하지 못하고, 제품 재설계 이후 고가의 HBM3E 출하량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트렌드포스는 설명했다.
이어 3위는 미국 마이크론으로, 1분기에 매출 65억8000만달러를 올리며 점유율 24.3%를 차지했다.
트렌드포스는 "2분기에는 PC 및 스마트폰 업체들이 90일간의 미국 상호관세 유예기간에 맞춰 재고 조정을 완료하고 생산량을 늘려 D램 공급업체의 출하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 "SK하이닉스, HBM 과반 점유···삼성전자·마이크론 수율 확보해야"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SK하이닉스 부스서 "HBM4 잘 지원해달라"
- 중동 '데이터센터' 설립에 활짝 웃는 '韓 기업···'수혜 1위는 삼성전자?
- "美, 中 반도체 기업 추가 제재 검토···관세협상 고려 적용 시점 논의 중"
- 삼성전자, 1분기 매출 79조원··· '갤럭시S25' 영향으로 사상 최대 실적
- [기자수첩] 삼성전자와 엔비디아는 다시 만날 수밖에 없는 운명
- SK하이닉스 한애라 이사회 의장 "AI 시대 위한 본원적 경쟁력 키운다”
- SK하이닉스, 첨단 D램 제조라인에 인피니티시마 '메트론3D 300mm 시스템' 채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