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79조1400억원, 영업이익 6조7000억원의 2025년 1분기 실적을 30일 발표했다. 지난 8일 공시한 잠정 실적(매출 79조원, 영업이익 6조6000억원)보다 소폭 상향 조정된 수준이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4% 증가하며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완제품을 담당하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호조와 고부가 가전 제품 판매 확대로 매출이 전분기 대비 28%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고대역폭 메모리(HBM) 판매 감소 등으로 매출이 전분기 대비 17% 감소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DS부문의 실적 하락에도 불구하고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 호조와 VD 및 가전 사업의 고부가 제품 중심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2000억원 증가한 6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미래 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도 지속해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인 9조원의 연구개발비를 기록했다.
부문별로 보면 DS 부문은 매출 25조1000억원, 영업이익 1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메모리 매출은 19조1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7% 감소했다. 서버용 D램 판매 확대 등으로 추가 구매 수요가 있었으나, 반도체 수출 통제 등의 영향으로 HBM 판매가 감소했다.
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에 플래그십 시스템온칩(SoC)을 공급하지 못했지만, 고화소 이미지센서 등의 공급 확대로 실적은 소폭 개선됐다.
파운드리는 계절적 수요 약세와 가동률 정체 등으로 실적이 부진했다.
DX 부문은 매출 51조7000억원, 영업이익 4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사업부의 매출은 37조원, 영업이익은 4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 호조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성장했고 부품 가격 하락과 리소스 효율화를 통해 견조한 두 자리 수익성을 달성했다.
VD(Visual Display)는 ▲Neo QLED ▲OLED 등 전략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재료비 절감 등을 통해 전분기 대비 수익성을 개선했다. 생활가전은 고부가 가전 제품의 매출 비중 증가로 전분기 대비 수익성이 향상됐다.
하만은 매출 3조4000억원, 영업이익 3000억원을 기록했다. 비수기 진입에 따른 실적 둔화에도 불구하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개선해 전년 대비 성장세를 유지했다.
디스플레이를 담당하는 SDC는 매출 5조9000억원, 영업이익 5000억원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계절적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하락했고 대형은 주요 고객의 QD-OLED 모니터 신제품 출시로 실적이 개선됐다.
-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콤보' 출시 1년만에 판매량 10만 대 돌파
-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서유럽 시장 판매 호조
-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익 7.4조···'어닝 서프라이즈'
- 韓정부, 삼성 합병으로 손해 본 美메이슨에 '860억 배상'
- 노태문 삼성전자 DX "신사업발굴에 집중"
- 삼성전자, 2분기 엔비디아 HBM3E 납품할까? "주요 고객사 샘플 공급"
- 이재용式 글로벌 인재 육성···삼성전자, 어학시험 전액 지원
- "갤럭시 S25 흥행 이어 간다" 삼성 모바일 2분기 전략 키워드는 '엣지'
- 갤럭시 '엣지'부터 'G폴드'까지···삼성전자 혁신 폼팩터 언제 출시할까?
- 삼성전자 미성년 주주 40만명···1인당 49주 보유
- 작년 5대그룹 매출액, GDP 40% 차지···전체 대기업은 80%
- 삼성전자 오디오 자회사 '하만', 美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문 인수
- 삼성전자 '갤럭시 S25 엣지' 13일 공개
- LG유플러스, 1분기 매출 3조7481억원···영업익 15.6%↑
- 삼성전자, 1분기 TV 매출 1위···LG전자 OLED TV 점유율 1위
- 구글까지 TSMC로···삼성 파운드리의 미래는?
- SK하이닉스, 1분기 D램 시장 점유율 1위···삼성전자 추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