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는 사고방식과 문화를 배우는 것
'글로벌 마인드셋' 내재화 조직문화 전반으로 확산

이재용 회장 /사진=연합
이재용 회장 /사진=연합

삼성전자가 임직원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7개 외국어 회화 시험 응시료를 전액 지원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강조해온 외국어 학습의 중요성과 글로벌 인재 육성 철학이 인사 정책으로 구체화된 셈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달 28일, 디바이스경험(DX)부문 임직원을 대상으로 영어·중국어·일본어·스페인어·베트남어·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등 7개 외국어 회화 시험에 대해 연 2회까지 응시료 전액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6월부터 시행되며, 사내 회화 평가 시스템에서 신청 가능하다. 지원 횟수를 초과하거나 결시할 경우 급여에서 응시료가 공제된다. 시험 결과는 사내 어학자격으로 자동 반영돼 향후 인사고과, 승진, 해외 주재원 선발 등에도 활용된다.

이 같은 결정은 이 회장의 인재관과 연관이 깊다. 그는 지난해 2월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 신입사원들과의 만남에서 "외국어 공부를 더 하지 않은 것이 후회된다"며 "외국어를 배운다는 건 단지 말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의 사고방식과 가치관, 역사까지 배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영어와 일본어는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중국어와 불어도 공부할 걸 그랬다"고 아쉬움을 내비쳤다.

이 회장은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언어의 중요성을 단순한 도구가 아닌 ‘경영 리더십의 기반’으로 보고 있다. 직원 개개인의 어학능력 향상이 단지 커뮤니케이션을 넘어 문화와 전략 이해, 현지 리더십 역량 강화로 이어져야 한다는 시각이다.

이번 정책은 이러한 이 회장의 철학이 사내제도에 반영된 사례로,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삼성형 인재를 체계적으로 키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삼성은 외부 영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국내 근무를 희망하는 외국인 경력직 채용 제도를 도입했고 R&D 분야 외국인 채용도 확대 중이다. 지난달에는 세계적 산업 디자이너 마우로 포르치니를 외국인 최초 디자인총괄 사장으로 선임했다.

이 회장은 지난 3월 "국적과 성별을 불문하고, 경영진보다 더 뛰어난 특급 인재를 모셔오고 양성해야 한다"며 인사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강조했다. "필요하면 인사도 수시로 해야 한다"는 메시지는 고정관념을 깨는 인재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어학시험 지원은 단기적 복지 혜택이 아닌, 글로벌 무대에서 통찰력 있는 리더를 양성하겠다는 장기적 인재 육성 로드맵의 일환이다. 내부 인재의 성장 기반을 다지는 동시에, 이 회장이 언급한 '글로벌 마인드셋' 내재화를 조직문화 전반에 확산하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