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언론과 간담회 하는 앤디 김 미 연방상원의원 /사진=연합뉴스
한국 언론과 간담회 하는 앤디 김 미 연방상원의원 /사진=연합뉴스

앤디 김 미국 연방 상원의원(민주ㆍ뉴저지)은 28일(현지시간) "미국 의회 및 한국측 파트너와의 깊은 협의 없는 주한미군의 실질적 감축에는 반대할 것"이라고 강조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 의원은 이날 워싱턴 DC의 의회 건물에서 열린 한국 언론과의 간담회에서 최근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주한미군 4500명 감축 및 재배치 가능성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한국계로는 사상 처음 미국 연방 상원에 진출한 인물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2일 미 국방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국방부가 주한미군 약 4500명을 다른 지역으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국방부는 이를 부인했다.

앤디 김 의원은 "나는 과거에도 초당적 법안 발의에 참여하는 등 이(일방적 주한미군 감축)에 반대해 왔다"며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는 대통령이 한국 내 병력을 실질적 규모로 일방적 감축하는 것을 막기 위한 노력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고 전했다.

그는 "내가 트럼프 행정부에 계속 말하는 것은 주한미군이 한국에만 이익이 되는 것이 아니라 미국에도 이익이 된다는 것"이라며 "북한은 한국에 계속 위협을 가할 뿐 아니라 지역 전체와 미국에도 위협을 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는 그런 논의(주한미군 감축)를 접고 의회 및 한국의 차기 지도자들과 대화를 나누며 서로의 안보 관계를 어떻게 유지·강화할지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아시아계를 포함한 이민자들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미국 소상공인들에게 타격을 주고, 서민들에게 생활비 상승 우려를 떠안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내 유학생과 유학을 희망하는 외국 학생들의 소셜미디어(SNS)를 심사해 체류 자격 부여 여부를 결정하려 하고, 하버드대의 외국인 학생을 제한하려 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부친이 미국에 유학생으로 입국해 박사 과정을 밟았다며 "미국은 글로벌 인재들을 흡수함으로써 혁신을 일굴 수 있었다"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미국인 60% 이상이 트럼프가 미국 경제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믿는다"며 자신이 소속된 민주당이 내년 11월 중간선거에서 상·하 양원(현재 모두 공화당이 다수) 중 하나 또는 전부를 되찾아 오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초래한 악영향을 유권자들에게 충분히 인식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제21대 한국 대통령 선거에 대해 "나는 한국 국민들이 원하는 바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민주주의를 보길 고대한다"며 "(차기 한국 대통령으로) 누가 선출되건 그와 함께 한미간 전략적 관계를 계속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