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한국바이오협회는 '글로벌 유전자 치료 시장의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서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을 인용해 유전자 치료 시장 규모가 약 366억달러(약 5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전자 치료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개인의 유전자를 변형하는 의학적 기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유전자 치료 시장은 2023년 약 72억달러(약 10조원)에서 향후 9년간 연평균 19.4% 성장해 2032년에는 약 366억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분석됐다.

유형별로 보면 ▲'유전자 침묵' 치료가 2023년 약 34억달러(약 4조7000억원), ▲'유전자 증강' 치료가 약 21억달러(약 2조9000억원), ▲'세포 대체' 치료가 약 15억달러(약 2조원) 규모다. 유전자 침묵 치료 부문의 시장 점유율이 47.7%로 가장 높았다.

유전자 침묵은 특정 유전자가 발현하지 못하도록 억제하거나 차단해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게 하는 치료법이다.

보고서는 "승인 및 상용화된 치료제의 다양성과 신경계 주요 질환에 대한 높은 치료 효과가 이 부문 성장을 견인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표적인 유전자 침묵 치료제로는 바이오젠의 '스핀라자'가 있다. 스핀라자는 5q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로 2017년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치료 영역별로 보면 신경학 영역이 약 41억달러(약 5조6000억원)로 점유율 57.4%를 차지했다. 이는 만성 질환 발생률 증가와 첨단 치료제 수요 증가에 따른 결과다.

지역별 유전자 치료 시장 규모는 북미가 36억달러(약 5조원)로 가장 컸다. 주요 바이오 의약품 제조 시설의 입지, 활발한 신약 개발 프로젝트, 높은 연구개발(R&D) 투자 등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기업들도 주목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전자 치료제를 차세대 성장 동력 가운데 하나로 지목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기존 집중하던 항체 치료제 외 유전자 치료제로의 영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 치료제 개발 기업 알지노믹스는 이달 일라이릴리와 유전성 난청 치료를 위한 정밀 RNA 치료제 공동 개발을 위한 전략적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