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바이오협회는 '글로벌 유전자 치료 시장의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서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을 인용해 유전자 치료 시장 규모가 약 366억달러(약 5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전자 치료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개인의 유전자를 변형하는 의학적 기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유전자 치료 시장은 2023년 약 72억달러(약 10조원)에서 향후 9년간 연평균 19.4% 성장해 2032년에는 약 366억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분석됐다.
유형별로 보면 ▲'유전자 침묵' 치료가 2023년 약 34억달러(약 4조7000억원), ▲'유전자 증강' 치료가 약 21억달러(약 2조9000억원), ▲'세포 대체' 치료가 약 15억달러(약 2조원) 규모다. 유전자 침묵 치료 부문의 시장 점유율이 47.7%로 가장 높았다.
유전자 침묵은 특정 유전자가 발현하지 못하도록 억제하거나 차단해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게 하는 치료법이다.
보고서는 "승인 및 상용화된 치료제의 다양성과 신경계 주요 질환에 대한 높은 치료 효과가 이 부문 성장을 견인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표적인 유전자 침묵 치료제로는 바이오젠의 '스핀라자'가 있다. 스핀라자는 5q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로 2017년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치료 영역별로 보면 신경학 영역이 약 41억달러(약 5조6000억원)로 점유율 57.4%를 차지했다. 이는 만성 질환 발생률 증가와 첨단 치료제 수요 증가에 따른 결과다.
지역별 유전자 치료 시장 규모는 북미가 36억달러(약 5조원)로 가장 컸다. 주요 바이오 의약품 제조 시설의 입지, 활발한 신약 개발 프로젝트, 높은 연구개발(R&D) 투자 등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기업들도 주목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전자 치료제를 차세대 성장 동력 가운데 하나로 지목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기존 집중하던 항체 치료제 외 유전자 치료제로의 영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 치료제 개발 기업 알지노믹스는 이달 일라이릴리와 유전성 난청 치료를 위한 정밀 RNA 치료제 공동 개발을 위한 전략적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
- 한미약품, 'mRNA 플랫폼' 적용 면역항암 신약으로 혁신
- 롯데바이오로직스, 美 아시모브와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 한미약품, 차세대 파브리병 치료제 ‘LA-GLA’ 효과 입증···美 학회서 발표
- 삼성바이오로직스, 연간 수주액 3조원 돌파···5개월만 전년 수주액 60% 달성
- 삼성바이오, 인적분할 '에피홀딩스' 신설···위탁생산·신약개발 완전 분리
- 삼성바이오로직스, 1분기 이어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까닭은
- 삼성바이오에피스, 유럽 신장학회서 희귀질환 치료제 '에피스클리' 소개
- SK바이오사이언스, 조달청과 227억원 규모 인플루엔자 백신 공급계약 체결
- 삼성바이오로직스, 2025 바이오 USA 참가···13년 연속 단독부스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