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바이오에피스는 7일까지 오스트리아에서 열리는 유럽 신장학회(ERA) 연례 학술대회에 참가한다고 4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현장 부스를 설치했다.유럽에서 판매 중인 희귀질환 치료제 '에피스클리'(성분명 에쿨리주맙)의 효능과 가치를 소개한다.
에피스클리는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다. 솔리리스는 미국 알렉시온이 개발한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aHUS), 전신성 중증 근무력증(gMG) 등 희귀질환을 치료하는 약이다.
솔리리스는 의료 현장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큰 대표적인 초고가 바이오의약품이다. 솔리리스의 주요 적응증인 PNH와 aHUS는 연간 치료 비용이 수억 원대로 알려졌다. 지난해 솔라리스의 글로벌 매출 규모는 25억8800만달러(약 3조8000억원)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에피스클리는 유럽 시장에서 희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한 치료 옵션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유럽, 미국 등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개척을 통해 더 많은 환자들에게 치료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의료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유럽,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에피스클리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했다. 2023년 유럽 출시한 후 독일·이탈리아 바이오시밀러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프랑스 최대 구매조합(UniHA)과 네덜란드 주정부 입찰 수주 등에 성공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출시됐다. 기존 오리지널 의약품의 약가 대비 절반 수준이다. 미국에서는 지난 4월 마케팅 파트너사인 테바를 통해 판매를 시작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공급 확대를 통해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치료 접근성을 높일 것"이라며 "국가 건강보험 재정 절감에 기여함으로써 의료 현장의 선순환 구조 형성을 위해 지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한국바이오협회 "유전자 치료 시장, 50조원 규모 전망"
- 헥토그룹, ‘맛깔’나는 직원 복지로 ‘일할 맛 나는 회사’ 만든다
- LG전자, B2B 신소재 사업 확대···해양 생물 성장 촉진 '마린 글라스' 사업 개발
- 삼성바이오로직스, 연간 수주액 3조원 돌파···5개월만 전년 수주액 60% 달성
- 삼성바이오, 인적분할 '에피홀딩스' 신설···위탁생산·신약개발 완전 분리
- 삼성바이오로직스, 1분기 이어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까닭은
- 삼성바이오로직스, 2025 바이오 USA 참가···13년 연속 단독부스 마련
- 삼성바이오에피스, 日 니프로와 커머셜 파트너십 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