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최적화 LLM·멀티모달 모델·MoE까지···AI 주권 확보 위한 ‘기술 독립 선언’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SK텔레콤과 카카오는 24일 각각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소버린 AI’ 구현을 위한 기술 독립에 나섰다.
양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번 발표를 통해 한국형 초거대 AI 생태계 조성을 본격화했다.
이날 SK텔레콤은 프롬 스크래치 방식으로 구축한 ‘A.X(에이닷 엑스) 3.1’ 모델 2종(표준형·경량형)과 대규모 사전학습(CPT)을 거친 ‘A.X 4.0’ 모델 2종을 오픈소스 커뮤니티 허깅페이스에 공개했다.
대표 모델인 A.X 3.1(34B)은 한국어 대화 성능에 집중했던 기존 A.X 3.0을 개선해 코드 및 수학 성능까지 향상시킨 모델로, A.X 4.0 대비 약 90%의 성능을 절반 이하의 매개변수로 구현할 수 있다.
SKT는 반도체·모델·데이터·서비스를 아우르는 ‘풀스택 AI’를 기반으로,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서울대·KAIST 연구진 등과 함께 국내 자립형 AI 생태계 구축을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각 분야 선도기업들과의 컨소시엄 구성으로 향후 소버린 AI 분야에서 새로운 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도 이날 경량 멀티모달 언어모델 ‘Kanana-1.5-v-3b’와 국내 최초 MoE(Mixture of Experts) 구조 언어모델 ‘Kanana-1.5-15.7b-a3b’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이해 능력을 갖춘 ‘Kanana-1.5-v-3b’는 글로벌 모델 GPT-4o에 견줄만한 수준의 성능을 보이며, 한국어 기반 멀티모달 모델 가운데 최고 수준의 지시 이행 성능(128%)을 기록했다.
카카오의 MoE 모델은 최대 15.7B의 파라미터 중 실제 추론 시 약 3B만 활성화되는 구조로, 연산 효율성과 비용 절감이라는 장점을 갖췄다.
김병학 카카오 카나나 성과리더는 “이번 오픈소스 공개는 비용 효율성과 성능이라는 유의미한 기술 개발 성과를 거둔 것으로, 서비스 적용과 기술 자립이라는 두 측면의 목표를 모두 충족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양사의 발표는 국내 기술로 구축한 독자 모델을 통해 초거대 AI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특히 한국어에 최적화된 LLM 개발 경험, 멀티모달 및 MoE 모델까지 아우르며 생성형 AI의 산업화 및 일상화를 동시에 겨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양사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델 고도화와 함께, 오픈소스 공개를 통해 스타트업·연구자들이 국산 AI를 자유롭게 실험하고 상용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 LG CNS, 2분기 매출 1조4602억원···AI·클라우드로 성장 지속
- 이동통신 3사의 LLM, 각기 다른 ‘소버린 AI’ 해법
- SK텔레콤, 한국어 특화 LLM '에이닷 엑스 4.0' 지식형 모델 오픈소스로 공개
- "자체 AI 모델 개발 멈춘 적 없어"···KT, ‘믿:음 2.0’ 공개하며 ‘소버린 AI’ 선언
- 크래프톤, SK텔레콤과 공동 개발 'AI 언어 모델' 3종 오픈소스 공개
- 카오임팩트, ‘돕는 AI 컨퍼런스 2025’ 참가자 모집한다
- SK텔레콤, A.X 기반 멀티모달·범용 문서 해석 AI 모델 2종 공개
- 대세는 AI 컨소시엄···SKT·네이버·KT·엔씨 중심으로 합종연횡
- 카카오, 러닝·마라톤 지원하는 ‘러너스 카드’ 출시
- 'AI·클라우드 실무 개발 인재' 양성하는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2기 수료
- AI에 웃고 운 '카카오' 주가··· GPU 사업자 선정 경쟁력 '기대'
- 티맵에 SK텔레콤 '에이닷' 탑재··· 대화형 ‘모빌리티 AI’ 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