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삼성전기는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7846억원, 영업이익 213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 영업이익은 1% 증가했다. 전 분기보다 각각 2%, 6% 늘어나며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삼성전기 측은 "비우호적인 환율 상황에서, 고부가제품으로 체질 개선을 통해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었다"며 " AI·전장·서버 등 고부가제품 수요 증가로 산업·전장용 MLCC 및 AI 가속기용 FCBGA 등 공급을 확대해 전년 동기 및 전 분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컴포넌트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0%, 전 분기 대비 5% 증가한 1조280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삼성전기는 AI 서버, 네트워크용 MLCC(적층세라믹콘덴서)와 전장용 고압·고용량 제품군 공급 확대가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xEV(전기차)와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확산이 전장 수요를 견인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글로벌 빅테크의 AI 인프라 투자가 지속되며 수요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패키지솔루션 부문은 전년 및 전 분기 대비 각각 13% 증가한 5,646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삼성전기는 AI 가속기용 FCBGA(플립칩 볼그리드어레이)의 본격 공급 시작과 더불어 서버용, ARM 프로세서용 BGA 공급 증가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밝혔다. 하반기에는 신규 스마트폰 출시 효과로 메모리용, SiP(System in Package) 패키지기판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광학솔루션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939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전 분기 대비로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카메라모듈의 계절적 수요 감소로 8% 줄었다. 삼성전기는 대신 전천후 및 인 캐빈 카메라모듈 등 전장용 제품군 공급을 확대하며 전년보다 매출을 소폭 늘릴 수 있었다고 밝혔다. 3분기에는 2억 화소 OIS, 폴디드 줌 등 고사양 제품 공급과 함께 자율주행 및 휴머노이드 로봇 등 신규 응용처를 겨냥한 기술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전기는 3분기부터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에 따른 IT용 부품 수요 확대와 함께, AI 서버, 네트워크, ADAS 중심의 산업·전장용 제품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각 사업부문은 이에 맞춰 차세대 고부가 제품의 적기 공급과 신규 거래선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