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형 멤버십 '우버 원', 청소년 전용 '우버 청소년 자녀 계정' 국내 첫 선
기사 친화형 앱 개선과 래핑 옵션 확대···상생 기반 수익 창출 기회 제공
| 스마트에프엔 = 김동하 기자 | "우버는 이동의 자유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도미닉 테일러 우버 모빌리티 아태지역 총괄 대표는 2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은 우버의 핵심 시장 중 하나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 한국 내 우버 택시 트립수(택시 호출부터 배차, 탑승까지 완료된 수치)는 매년 두 자릿수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우버 택시는 올해 상반기 우버 앱을 사용하는 택시 확대에 주력하며 안정적인 배차 체계를 구축했다. 더 많은 수요에 대응할 수 있게 된 우버 택시는 택시 이용률이 높은 젊은 직장인, 여행객 등 핵심 소비층을 겨냥한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고 적극적인 프로모션을 전개하며 점유율과 인지도를 동시에 높였다는 설명이다.
송진우 우버 택시 코리아 총괄은 "택시가 많아지면서 배차 성공률이 올라가고 그런 경험이 승객들의 호출을 늘려 수요와 공급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됐다"며 "이를 기반으로 신규 탑승객을 늘리고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하며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모빌리티 멤버십부터 청소년 전용 서비스까지···국내 소비자에 맞춘 '로컬라이징'
우버 택시는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성과가 입증된 서비스를 현지화해 선보이며 차별화된 서비스 경험을 구축해왔다.
송진우 총괄은 "하반기에는 승객에게 더 다양한 선택지를, 기사들에게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하는 전환점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날 우버 택시는 글로벌 우버의 시그니처 멤버십 서비스인 '우버 원'의 한국 출시를 공식화했다. 우버 원은 택시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에게 최적화된 구독형 멤버십 서비스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멤버십 회원은 우버 택시를 이용할 때마다 요금의 최대 10%를 우버 원 크레딧으로 적립 받아 다음 승차 시 사용할 수 있다. 우버택시 가맹상품(Uber Taxi, 스피드 호출, 우버 블랙, 일반 택시 XL)은 10%, 일반 택시·모범 택시·그린 상품은 5%가 적립된다. 평점 높은 기사님 우선 배차와 같은 전용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우버 원은 일부 지역 베타 테스팅 기간을 거쳐 순차적으로 9월 초까지 론칭할 예정이며 가격은 월 4900원이다. 연간 결제를 선택하면 4만9000원으로 약 17% 저렴하게 구독할 수 있다.
우버 택시는 이번 공식 론칭을 기념해 우버 원 가입 이력이 없는 신규 이용자를 대상으로 1개월 무료 체험 혜택도 함께 제공한다.
오는 29일에는 청소년 전용 서비스 '우버 청소년 자녀 계정'을 선보인다. 청소년들이 부모와 연동된 우버 청소년 자녀 계정을 통해 택시를 호출하면 최고 평점 기사들이 배치된다. 부모는 우버 앱에서 자녀의 여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월별·건별 지출 한도 설정도 가능하다.
해당 서비스는 서울, 인천, 성남, 대전, 대구, 울산, 부산, 제주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전국 확대 론칭할 예정이다.
가맹 기사와 상생을 통한 동반 성장···래핑 옵션 확대해 수익 기회 마련
'기사 중심의 플랫폼'을 표방하는 우버 택시는 기사들의 운행 환경 개선과 수익 다변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기사들의 피드백을 적극 반영해 드라이버 전용 앱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고 있으며 수수료 2.5%를 유지하고 있다.
장거리 이동 수요가 많은 외국인 승객과의 접점 강화를 통해 공항 호출 건수를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시키는 등 기사들의 수익 확대에도 기여했다는 설명이다.
이날 우버 택시는 가맹 기사들의 추가 수익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래핑 옵션도 공개했다. 기사들은 우버 택시의 브랜딩 효과를 그대로 누리는 동시에 여유 공간에 광고물을 부착해 부가 수입을 올릴 수 있게 됐다.
송진우 총괄은 "우버 택시는 기사와 승객 모두에게 더 나은 이동 경험과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지향한다"며 "앞으로도 한국 시장 환경과 기사·승객의 요구에 맞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글로벌 선두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