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호출에 집중하겠다"
코스로샤히 CEO는 30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열고 한국 사업 비전을 공유했다.
코스로샤히 CEO는 한국 시장에 대해 "택시 시장 규모가 크고 택시 호출 플랫폼의 보급률 증가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훌륭한 테크 제품과 자동차를 생산해왔고 높은 수준의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우고 다른 기업들과의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우버 또한 탄탄한 경쟁력을 지닌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우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우버 택시 국내 사용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78% 늘었고 3월 이후 매월 두 자리수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일반적인 승객들보다 탑승 시간이 긴 외국인 관광객 이용자는 2배 이상 늘었다.
코스로샤히 CEO는 "우버택시는 리브랜딩 이후 이용률이 매월 증가하면서 배차 서비스 신뢰도도 향상돼 한국에서 우버를 호출하면 3분 이내 도착하는 등 서비스 향상을 이뤘다"며 "한국에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해 택시 기사와 승객에게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코스로샤히 CEO는 방한 이유에 대해 여러 파트너사를 만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이날 한명진 SK스퀘어 신임 대표와 조찬을 갖고 파트너십에 관한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우버택시의 지분을 나눠 갖고 있는 SK스퀘어와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서 제기된 SK스퀘어와의 결별설에 대해선 뚜렷한 답을 내놓지 않았다. 코스로샤히 CEO는 택시 사업 구조 변화 가능성에 대해 "정책상 답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코스로샤히 CEO는 이 자리에서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 도입을 통해 한국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도 공개했다.
그는 "우버 플랫폼을 기반으로 미래 기술 전환을 선도하는 것은 우버가 생각하는 중요한 핵심 가치 중 하나고 그 중심에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이 있다"며 "하루 아침에 변하지는 않겠지만 앞으로 교통 생태계에서 자율주행 자동차는 우버의 사업 모델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코스로샤히 CEO는 이번 방한에서 현대자동차 등 여러 업체와 만나 이같은 부분을 논의한다. 그는 "여러 기술 개발사와 자도차 제조사와 만나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했다.
국내 카카오모빌리티와의 경쟁에서도 자신감을 내비쳤다.
코스로샤히 CEO는 "카카오가 한국 모빌리티 시장에서 절대적 강자라는 점은 존중하고 있다"며 "하지만 우버가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가 가장 중요하다"며 "우버는 글로벌 시장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갖고 있고 이런 부분은 현지 기업이 쉽게 따라올 수 있는 부분은 아닐 것"이라고 짚었다.
코스로샤히 CEO는 정부 규제에 대해서 "한국 시장 자체의 잠재력은 굉장히 크다. 우버는 글로벌 회사인 만큼 현지의 문화나 규제들을 존중하고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며 "현지 파트너들과 협업을 하고 규제 당국과도 협력을 하면서 앞으로의 성장 동력을 더욱 키우겠다"고 전했다.
김동하 기자 rlaehdgk@smartf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