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기준 KT 소액결제 피해 사례는 모두 124건, 피해액은 8060만원으로 집계됐다. / 이미지=구글 제미나이 생성
10일 기준 KT 소액결제 피해 사례는 모두 124건, 피해액은 8060만원으로 집계됐다. / 이미지=구글 제미나이 생성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KT 이용자들이 휴대전화 소액결제로 피해를 보는 사례가 100건을 넘어서며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이에 시민단체에서는 KT의 즉각적인 고지와 실태파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10일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9일 오후 6시까지 경찰에 신고된 KT 소액결제 피해 사례는 모두 124건이다. 전체 피해액은 8060만원 수준이다.

광명경찰서가 73건 피해액 4730만원, 금천경찰서가 45건 2850만원, 부천소사경찰서 6건 480만원의 신고가 집계됐다. 지난 5일까지 총 74건이 집계됐고, 불과 나흘만에 51건이 늘었다.

피해가 확인된 곳은 경기 광명시와 부천시, 서울 금천구 등 3곳이다. 인천 부평구, 경기 과천시, 서울 영등포구 등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피해가 발생한 사실이 알려지고 있어 관련 피해가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인천 등에서 추가로 발생한 피해 사례에 대해서 이번 소액결제 피해 사건과의 유사성 검토가 끝나지 않아 현재 집계에서 제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경찰이 확인한 피해자들은 모두 KT 통신사 가입자이며 KT의 전산망을 통하는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 중인 이들도 일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지난 1~2일 KT 본사와 지점, 중개소 등에 연락을 취했지만 KT 관계자들은 "KT는 (해킹에) 뚫릴 수가 없다", "(그와 같은 사건은) 발생할 수가 없다"는 등의 답변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일각에는 경찰로부터 사건 발생을 통보받은 KT가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아 피해를 키운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시민사회단체도 KT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는 KT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서울YMCA는 "가장 먼저 필요한 조치는 KT의 즉각적인 전체 이용자 문자 고지"라며 "피해 확산 방지 우선을 위해 고령층·디지털 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가입자에게 현 상황과 피해 확인 방법(소액결제 내역 확인 및 원천 차단 방법 등)을 쉽게 안내하는 문자를 즉시 발송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문자 고지와 동시에, 알뜰폰을 포함한 KT망을 이용하는 이용자 피해 실태 파악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며 "KT 전체 가입자와 망 이용자를 대상으로 피해 실태를 전수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T가 이미 보유하고 있는 새벽 시간대 소액결제 내역 등 이상 거래 데이터를 즉시 공개하고, 해당 고객에게 개별 고지를 즉시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