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는 KT와 LG유플러스를 대상으로 개인정보 유출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10일 밝혔다.
개인정보위 측은 “최근 KT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다수 발생하며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됐다”며 “미국 보안 전문지(Phrack)를 통해 KT와 LG유플러스에 대한 해킹 정황이 공개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개인정보위는 언론보도와 유관기관 정보를 토대로 사실관계를 확인해 왔으며, 기업 측에 자료 요구와 면담을 진행했다. 공식적인 개인정보 유출 신고는 접수되지 않았으나, 시민단체의 조사 요청과 소액결제 피해자의 침해 신고가 잇따르면서 이번 조사를 결정했다.
개인정보위는 앞으로 두 통신사의 사건 경위와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집중 확인할 계획이다. 개인정보보호법 제63조에 따르면 위원회는 신고나 민원이 접수되거나 필요성이 인정될 경우, 기업에 자료 제출을 요구하고 현장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관련기사
- KT, 소액결제 피해 124건 8000만원···"즉각 문자 안내·피해 전수조사 必"
- 은밀한 해커의 초소형 기지국, KT 고객 통신망 위협
- KT 소액결제 해킹 '오리무중'···기존 사이버 범죄와 차이
- KT·LG유플러스는 해킹 청정지대?···과기정통부 "침해 사고 여부 조사중"
- 개보위, SKT에 과징금 1348억원 ···SKT "의결서 검토후 대응"
- KT 소액 결제 피해액 1억7000만원···278건 발생
- KT '무단 소액결제', '유령 기지국' 펨토셀 원인···풀리지 않는 의문들
- 김영섭 대표, KT 불법 소액결제 피해 공식 사과···"재발 방지 총력"
- KT "개인정보 유출 경로 파악 못해···금전 피해 전부 책임질 것"
- “편의성 앞세운 미성년자 소액결제”···통신업계 보안 취약점 어쩌나?
- LG유플러스 협력사, KISA에 해킹 피해 신고...KT·LG유플러스는 "침해 없어"
- KT '무단 소액결제', 한달 전부터 신호 나와
- 해킹 잇따르는데···카드사들, 정보보호 투자 ‘뒷걸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