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광물·청정에너지·AI까지 협력 분야 다각화
포스코, 재난대응 사회공헌사업 소개

| 스마트에프엔 = 이장혁 기자 | 한국과 호주 경제협력의 대표 플랫폼인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이하 한-호 경협위) 제46차 합동회의가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렸다. 이번 회의는 양국 간 핵심광물, 청정에너지, 인공지능(AI) 혁신뿐 아니라 산업안전과 재난대응까지 협력 분야를 넓히는 자리가 됐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한국 측 위원장으로 회의에 참석해 “경제·산업 투자 확대를 넘어 지역상생, 산업안전, 재난 대응까지 협력 외연을 넓혀 지속가능한 미래를 함께 모색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합동회의에는 호-한 경협위(AKBC) 마틴 퍼거슨 위원장, 산업통상자원부 박종원 통상차관보, 제프 로빈슨 주한호주대사를 비롯해 양국 정·재계 인사 200여 명이 참석했다.

올해 논의 의제는 핵심광물 공급망, 청정에너지, AI 생태계 혁신, 산업안전 및 재난대응 등 5개 분야였다. 특히 ‘AI 기반 산업안전·재난대응’이 특별 의제로 처음 채택되며 협력의 지평이 한층 확대됐다.
포스코그룹은 산업안전·재난대응 세션에서 신규 사회공헌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NSW)의 산불 대응 경험과 체계를 벤치마킹해 전국재해구호협회와 함께 재난 상황 모의훈련, 대피시설 개선, 소방장비 지원 등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지역 주민이 자연재해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이다.
핵심광물 세션에서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을 통한 리튬 수산화 생산, 호주 핵심자원연구소 운영 등 양국의 성공적 협력 사례가 소개됐다. 포스코그룹은 매년 약 70억 달러(한화 약 9조5천억 원) 규모의 철강 원료를 호주에서 구매하며 이는 전체 원료 구매량의 70%를 차지한다. 또한 로이힐 철광석 광산 개발 참여, HBI(Hot Briquetted Iron) 생산 프로젝트, 세넥스에너지 인수를 통한 천연가스 사업 확대 등 협력을 다각화하고 있다.
1970년대 초 철광석 구매로 시작된 한-호 협력은 이제 자원개발을 넘어 청정에너지·AI·산업안전까지 확대되며, 양국 산업 교류의 ‘미래형 파트너십’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