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특별법·저탄소 전환 지원 병행 추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모습./사진=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모습./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김선주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미국의 50% 고율 관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철강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한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19일 경북 포항시 포스코를 방문해 주요 철강 기업 사장단과 간담회를 열고 “철강 기업·금융권·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약 4000억원 규모의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보증상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포스코 인공지능(AI) 고로,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 등을 시찰하며 업계 애로를 청취했다. 그는 “대미 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으나 관철이 쉽지 않았다”며 “미국과 관세 완화 협의를 지속하고,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방어와 후속 지원 대책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3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부터 이를 50%로 인상하면서 국내 철강업계는 직격탄을 맞았다. 실제로 7월 대미 수출은 전년 대비 25%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장관은 “철강산업 위기로 촉발된 지역경제 어려움 해소에도 힘쓰고, 국회에 발의된 철강산업 특별법이 핵심 정책과제로 입법화되도록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AI 접목을 통한 효율성과 안전 강화, 저탄소·고부가 전환 지원도 지속 확대하겠다”며 “근로자 안전을 위한 중대재해 예방 투자에도 적극 나서달라”고 업계에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넥스틸, TCC스틸 등 주요 철강사 대표와 한국철강협회 관계자가 참석했다. 산업부는 전문가·업계 의견을 반영해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키워드
#관세 #철강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