켐프 조지아 주지사, 3번째 방한 추진 “비자 제도 전면 재검토 필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3월 26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브라이언 캠프 조지아 주지사와 셀카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3월 26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브라이언 캠프 조지아 주지사와 셀카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정윤호 기자 | 이달 초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이민세관단속국(ICE)의 한국인 300여명 체포 사태 이후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가 한국 방문을 추진하고 있다. 대규모 구금으로 한국 내 대미 여론이 악화되고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공장 인력 재투입 문제가 불거지면서 조지아 경제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1일(현지시각) 애틀랜타 저널 컨스티튜션 보도에 따르면, 켐프 주지사실은 지난 8일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이메일을 발송해 “주지사가 곧 한국을 방문하며 현대자동차 관계자 면담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메일에는 “현대차는 조지아주의 중요 투자자이자 파트너”라는 문구도 담겼다. 이는 ICE가 지난 4일 조지아 엘라벨 현대차-LG 합작공장 건설 현장을 단속해 한국인 317명을 포함해 475명을 체포한 지 나흘 만이었다.

켐프 주지사실은 이번 방한 추진이 단속 사건 때문만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주지사실은 “이번 방한은 9월4일 이전부터 협의돼 왔으며 조지아의 경제·교육·문화 파트너와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현지 언론은 이번 방문의 성격이 과거와 다르다고 평가했다. ICE 단속으로 불거진 한국 국민 여론 악화와 투자 차질 우려가 겹쳐 있기 때문이다.

켐프 주지사의 방한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내달 28일부터 29일까지 일본에서 열리는 미국 남부지역 주지사 국제회의 참석을 전후해 한국을 찾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켐프 주지사의 방한은 재임 후 세 번째가 될 전망이다.

한편, 이번 방문단에는 트립 톨리슨 서배너 경제개발청장도 포함됐다. 그는 지난 17일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한국인 인력에 의지하고 있으며 공장 일정에 맞춰 복귀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켐프 주지사 역시 지난 16일 “이번 사건은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국의 비자 제도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며 “현재 백악관과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