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전통시장(청호시장). /사진=목포시
목포 전통시장(청호시장). /사진=목포시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민생 소비가 살아나는 듯했지만 8월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과 연합뉴스 등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2.4% 줄었다. 4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으며 지난해 2월(-3.5%)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품목별로는 의복·신발·가방 등 준내구재(1.0%)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음식료품·화장품 등 비내구재(-3.9%)와 가전제품·가구 등 내구재(-1.6%) 판매가 감소했다.

7월 소비쿠폰 지급으로 소매판매가 2.7%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지만 2차 추가경정예산의 효과가 일시적이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두원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7월 말 소비쿠폰 지급 초기에는 안경이나 헬스 결제 등에 일부 사용됐고 아직 전액 소진되진 않았다”며 “9월 2차 소비쿠폰 지급과 10월 추석 소비 효과 등을 고려하면 9월에는 증가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은 늦은 추석으로 인해 8월 수요가 9월로 일부 넘어간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산업생산은 큰 변동이 없었다. 8월 전산업생산 지수(계절조정)는 114.5(2020=100)로 전달과 동일했다. 앞서 4∼5월 감소세에서 벗어나 6∼7월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다시 제자리에 머무는 모습이다.

광공업 생산은 자동차 생산호조(21.2%)에 힘입어 2.4% 늘었지만, 건설업 생산은 6.1% 급감했다. 서비스업(-0.7%), 공공행정(-1.1%)도 줄었다. 이 심의관은 “자동차 생산은 5년 2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했지만, 부분파업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1% 감소했다. 기계류 투자는 늘었으나 운송장비 투자가 줄었다.

건설기성은 건축(-6.8%)과 토목(-4.0%) 실적이 모두 줄며 6.1%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 1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반면 건설수주(경상)는 건축과 토목 모두 늘면서 전년 동월 대비 44.8% 증가했다.

경기종합지수는 개선됐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 대비 0.2포인트, 앞으로의 경기 상황을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5포인트 각각 올랐다.

한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국가통계포털(KOSIS) 접속은 중단됐지만 관련 통계 처리가 화재 이전에 마무리돼 이번 산업활동동향 발표는 예정대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