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일·커피 등 생활밀착 품목 가격 고공행진

| 스마트에프엔 = 이장혁 기자 | 지난 5년간 식탁 물가가 연평균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며 가계 부담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의 중심에는 빵, 과일, 커피 등 일상 속 필수 식품이 자리했다.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 대비 22.9%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16.2%)을 7%포인트 가까이 웃돌며, 먹거리 물가가 물가 전반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품목별로는 과일(35.2%)과 우유·치즈·계란(30.7%)이 5년 전보다 30% 이상 급등했고, 빵(38.5%), 케이크(31.7%), 떡(25.8%), 라면(25.3%) 등 곡물류 가격도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과자·빙과류·당류(27.8%)와 고춧가루·참깨 등 기타 식료품(21.4%)도 크게 올랐다. 커피·차·코코아는 무려 38.2% 뛰며 비주류 음료 중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지난 2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 /사진=연합
지난 2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 /사진=연합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는 2020년 이후 매년 4~6%대 상승세를 지속해왔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고 5% 수준에 머문 것과 비교하면, 식품 물가의 부담이 꾸준히 누적된 셈이다.

생활 전반에서도 물가 압박은 이어졌다. ‘음식 및 숙박’ 부문은 24.8% 올랐으며, 외식비를 뜻하는 ‘음식 서비스’는 25.1% 상승했다. 원재료비 인상분이 외식비에 그대로 반영된 결과다. ‘기타 상품 및 서비스’(24.1%),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19.4%)도 잇따라 올라 가계 지출 전반이 압박을 받고 있다.

주거 관련 항목인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는 16.7% 올랐고, ‘의류 및 신발’은 16.2% 상승했다. 반면 교통(15.9%), 오락·문화(9.5%), 교육(8.8%), 보건(6.2%)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다. 통신비는 유일하게 0.2% 하락하며 완만한 안정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생활 전반에 걸친 고물가 흐름이 장기화하며 소비심리 위축과 가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며 “특히 식품 물가의 안정 없이는 체감 경기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