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추석 연휴 여행수요·기상 영향 겹쳐
농산물·서비스 가격 동반 상승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사진은 본 기사와 연관없음)/사진=동두천시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사진은 본 기사와 연관없음)/사진=동두천시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늘어난 여행 수요와 기후 영향에 따른 농산물 출하 지연, 그리고 국제유가 반등이 겹치면서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했다.

4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의하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42(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7월 2.6% 이후 1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도 2.2% 오르며 같은 기간 중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여행·서비스 가격이 물가 견인

지난달 긴 연휴 영향으로 숙박·렌터카·해외여행 등 개인서비스 가격이 일제히 상승했다.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 물가는 3.6%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0.72%p 끌어올렸다. 세부 품목별로는 ▲콘도 이용료 26.4% ▲승용차 임차료 14.5% ▲해외 단체여행비 12.2% 등으로 10% 이상 올랐다.

농축수산물·석유류 동반 상승

농축수산물 가격은 3.1%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5%p 끌어올렸다. 품목별로는 ▲축산물 5.3% ▲수산물 5.9% ▲농산물 1.1% 상승을 기록했다. 특히 돼지고기 6.1%·고등어 11.0%·쌀 21.3%·사과 21.6% 등이 두드러졌고, 찹쌀은 45.5% 급등했다. 잦은 비로 인한 출하 지연이 가격 상승 요인으로 지목됐다.

채소류는 출하량 증가와 지난해 기저효과로 14.1% 하락하며 상승폭을 일부 상쇄했다. 석유류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8% 상승했다. 이는 올해 2월 6.3%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달성했다. 국제유가의 기저효과와 환율 상승, 유류세 인하폭 축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경유는 8.2%, 휘발유는 4.5%씩 올랐다.

근원물가도 15개월 만의 최고 수준

가공식품 가격은 3.5% 상승했지만, 9월 4.2% 대비 상승세는 다소 둔화했다. 이는 명절 할인 행사와 부침가루·식용유 등 주요 식료품 가격 하락 영향으로 풀이된다. 외식 물가는 3.0% 올라 전달 3.4% 보다 상승폭이 다소 줄었다. 햄버거·피자 등 일부 프랜차이즈 세일 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근원물가지표인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2.5%다.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2.2%로 모두 지난해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 신선식품지수는 0.8% 하락했다.

일시적 요인 크지만, 근원 압력도 주의 필요

국가데이터처 이두원 경제동향통계심의관에 의하면 10월 물가 상승은 긴 추석 연휴에 따른 여행 수요 확대, 농산물 출하 지연 등 일시적 요인이 크다고 봤다. 또 가공식품과 서비스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근원적인 물가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향후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과 에너지 가격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명절 이후 수요 변동에 따른 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