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동아에스티(동아ST)는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와 AI 기반 신약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에서 열린 이번 협약은 AI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신약개발 가속화가 목표다. 동아에스티의 임상 데이터 및 신약개발 역량과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의 AI 원천기술을 결합한 공동연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AI 기반 신약 개발 ▲연구데이터 디지털 전환 관련 공동 연구에 협력한다. 또한 이번 협약을 계기로 서울대학교 석·박사 과정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차세대 AI 신약개발 인재를 양성하고, 중장기적으로 산학협력 체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범용 AI 원천기술과 핵심 알고리즘 개발해 왔다. 축적된 연구성과와 기술적 전문성을 통해 독자적인 AI 기술 경쟁력을 갖췄다.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의 AI 기술 경쟁력과 동아에스티의 약물 자산, 임상 데이터, 신약개발 역량을 결합함으로써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 김경수 교수는 “노벨상 수상으로 그 성과가 입증된 알파폴드와 최근의 임상 성공 사례들이 보여주듯, 상용화 가능한 신약개발 인공지능은 이제부터가 진정한 본격적 시작 단계에 있다”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의생명과학, 신약개발 등 다양한 분야를 전문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첨단형 인재 양성과 각 분야 최고 수준의 교수진 구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모든 역량을 고루 갖춘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는 대한민국 대표 제약기업인 동아에스티와 함께, 글로벌 상용화를 목표로 한 원천 기술 개발과 신약의 세계 시장 진출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동아에스티 정재훈 사장은 “AI는 신약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 기술로, 서울대학교와의 협력을 통해 동아에스티의 연구개발 역량에 새로운 혁신 동력을 더할 것이다”며 “양 기관의 협업을 통해 AI 기반 신약개발 속도를 높이고,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 있는 혁신 신약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동아ST, 아이센스 연속혈당측정기 '케어센스 에어' 전문가용 판매
- 동아제약 파티온, 여드름성 피부용 클렌저 ‘노스카나인 트러블 밀크’ 출시
- 동아제약 ‘템포’, 초경의날 맞아 취약계층 여성청소년에게 생리대 기부
- 앱티스, AI 기반 차세대 ADC 개발 국책과제로 선정
- 앱티스,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과 ADC 신약 공동개발한다
- 동아제약, 어린이 체력 회복에 도움 주는 ‘챔큐비타시럽’ 출시
- 동아제약, 올리브오일 ‘올리비바’ GS25 편의점 입점
- 동아에스티, 3분기 매출 10.5% ↑···‘분기 최대 실적’
- 동아ST, 독일 ‘CPHI 2025’서 글로벌 파트너십 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