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 시험 가능성 대두
전문가, 기술 완성도 아직 초기 단계로 평가

북한이 지난 22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우리 군은 발사지점을 황해북도 중화 일대로 추정하며, 약 350㎞를 비행한 것으로 탐지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의 일부를 시험 중인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기술 완성 단계로 보기엔 이르다고 지적한다. / 사진 =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2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우리 군은 발사지점을 황해북도 중화 일대로 추정하며, 약 350㎞를 비행한 것으로 탐지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의 일부를 시험 중인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기술 완성 단계로 보기엔 이르다고 지적한다. / 사진 =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22일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군과 정보당국은 이번 발사 미사일이 이달 초 처음 공개된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번 시험은 이달 말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대내외적으로 존재감을 부각하려는 목적도 포함된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중앙통신은 23일 북한이 새로운 무기체계인 극초음속비행체 두 발을 시험 발사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사일은 평양시 역포구역에서 발사돼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등판 목표지점에 명중했으며, 비행거리는 약 400㎞다. 반면 우리 군은 발사 지점을 황해북도 중화 일대로 추정하면서 약 350㎞ 비행한 것으로 탐지했다.

북한은 구체적인 미사일 기종이나 제원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신형 극초음속비행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 점으로 미뤄 이달 초 평양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에서 처음 선보인 화성-11마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화성-11마는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화성-11형을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날개형 극초음속 활공체 탄두를 장착한 개량형이다.

우리 군은 발사된 미사일의 궤적에서 고도나 방향을 불규칙하게 바꾸는 변칙 기동은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보통 마하 5 이상의 속도로 대기권 내에서 활공 및 회피기동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나, 이번 발사는 완전한 극초음속 활공 기술이 구현된 단계로 보기 어렵다.

이번 시험발사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 일부를 시험 중이지만 완성된 수준은 아니라고 평가한다.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저고도 활공 성능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이번 공개는 정확도와 신형 무기 개발 의지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통일연구원 홍민 선임연구위원은 "탄두부가 글라이더 비행 효과를 냈는지에 대한 정밀 분석이 필요하다"면서 "화성-11마형은 최소 500㎞ 사거리에서 300㎞ 구간을 활공하며 회피기동이 가능한 비행체로 추정된다"라고 평가했다.

우리 군과 정보당국은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관련 시험 발사를 계속하며 기술 완성도를 높일 것으로 보고 있으나, 현재 수준은 실제 극초음속 활공체의 요격 회피 단계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