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말 APEC 계기 방한 앞두고 트럼프 결단 주목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만났던 트럼프와 김정은./사진=연합뉴스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만났던 트럼프와 김정은./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김선주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이 비핵화 목표를 내려놓으면 북미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응 여부에 외교가의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21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버리고 현실을 인정한다면 마주 설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고 북한 매체 및 연합뉴스 등이 22일 보도했다. 다만 “우리는 절대로 핵을 내려놓지 않을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도 동시에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0월 3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차 방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과의 4번째 회동이 성사될지 관심이 모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한미정상회담에서도 “올해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2기 들어 분쟁 중재를 통한 노벨평화상 행보를 의식하고 있는 만큼, 북미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특히 북러 군사협력 강화와 북한·이란 간 협력 차단을 위해서도 대화 채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관건은 ‘비핵화 포기’를 전제한 김 위원장의 제안에 트럼프 대통령이 얼마나 유연하게 대응하느냐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지칭하면서도 행정부 차원에서는 비핵화 목표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우크라이나·가자 전쟁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북미관계 정상화를 외교 성과로 삼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비핵화를 장기 목표로 돌리고 우선 북핵 위험 통제와 대북 적대관계 종식에 초점을 맞출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비핵화 명시 없이 대북제재 완화와 관계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북한이 사실상 비공인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게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외교가에서는 향후 북미 간 물밑 접촉이나 정상 간 서신 외교가 재개될 가능성을 점치면서, 한미 간 긴밀한 대북정책 조율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평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