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평양에서 개막한 북한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4일 평양에서 개막한 북한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북한이 3년 연속 무장장비전시회를 열고 첨단 무기체계를 과시했다.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미군 활동을 겨냥한 강력한 군사적 메시지를 내세운 것으로 풀이된다.

5일 조선중앙통신과 연합뉴스 등 보도에 따르면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가 지난 4일 평양에서 개막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개막식 기념연설에서 “적들은 자기의 안보 환경이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를 마땅히 고민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 영토가 결코 안전한 곳으로 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 판단할 몫”이라고 경고했다.

김 위원장은 “미·한 핵동맹이 급진적으로 진화하고, 이른바 핵작전 지침에 따라 위험한 각본들을 현실에 옮기려는 훈련들이 감행되고 있다”며 “미국은 한국과 주변 지역에 군사 자산을 확대하기 위한 무력증강조치들을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대한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와 정찰 활동, 그리고 이를 활용한 군사적 적대 행위를 국가안보에 새로운 위협이 될 가능성과 연관해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이에 상응하는 분명한 대응 조치도 취했다”고 말했다.

또 “한국 내 미군 전력 증강에 비례해 우리의 전략적 관심도 역시 높아졌으며, 특수자산을 주요 표적에 할당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또 “미국이 지역국가들의 우려를 무시한 채 무력 증강을 계속한다면 우리는 새로운 위협을 제거하고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군사기술적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전시회에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KN-23에 극초음속 탄두를 장착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성-11마, 초음속 순항미사일, 대잠미사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과 화성-19형 등 한국과 미국을 위협할 수 있는 주요 전략무기가 전시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행사를 한미동맹 강화와 미국의 군사훈련 확대에 대한 경고 메시지로 해석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한국 내 미군 기지와 주요 시설이 북한의 타격 대상임을 노골적으로 경고한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에 미국의 군사 전략에 동참하지 말라는 압박의 의미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김정은의 강경 발언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거래 본능’을 자극해 북미 간 전격 회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북한은 2023년부터 매년 ‘국방발전’이라는 이름으로 무장장비전시회를 개최해왔다. 앞서 2021년에는 ‘자위-2021’ 국방발전전람회를 열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