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구금사태엔 "한국민 분노, 美 사과···한미동맹 해치지 않을 것"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김선주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과의 관세·투자 갈등을 가능한 한 빨리 해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연합뉴스 등이 보도했다. 

이 대통령은 22일(한국시간)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한국의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와 관련해 “통화 스와프 없이 전액 현금으로 집행한다면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며 상업적 합리성을 보장하는 합의가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과의 무역 합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혈맹 간 최소한의 합리성은 지켜져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 당국의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공장 이민 단속에 대해서는 “가혹한 처우에 국민이 분노했지만 동맹을 흔들 일은 아니다”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BBC 인터뷰에서 북핵 문제와 관련, ‘비핵화’라는 장기 목표를 유지하되 당분간 핵무기 생산을 동결하는 것이 실행 가능한 대안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일정 수준 신뢰를 바탕으로 핵 동결 합의에 나선다면 이를 수용할 수 있다”며 북미대화 재개 가능성을 언급했다.

또 최근 북·중·러 밀착에 대해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두 진영의 경계선에 있다”며 위험성을 지적하고, “군사적 긴장 고조에서 벗어날 출구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러시아 군사협력에 대해서는 “심각한 위협”이라면서도 단순 대응보다 대화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같은 날 뉴욕에 도착해 취임 후 첫 유엔총회 일정을 시작했다. 기조연설을 비롯해 3박 5일간의 외교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키워드
#이재명 #관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