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에스티팜이 올리고(Oligo) 신약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의 성장세에 힘입어 올해 3분기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뤘다.
29일 에스티팜의 공시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819억원, 영업이익 147억원, 당기순이익 204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32.7%, 영업이익 141.6%, 순이익 49.2%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률은 18.0%를 기록하며 수익성도 크게 개선됐다.
이번 실적 호조는 올리고 신약 CDMO 부문의 성장 덕분이다. 해당 사업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2.9% 증가한 686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만성 B형간염 치료제 222억원, 희귀심혈관 치료제 256억원, 고지혈증 치료제 79억원, 동맥경화증 치료제 72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올리고 신약 CDMO 사업의 상업화 프로젝트 매출이 확대되면서 전체 마진율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며 "높은 매출 볼륨을 기반으로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올리고 CDMO 포트폴리오의 매출 구조도 한층 다변화됐다. 이전까지 혈액암 및 고지혈증 치료제에 집중됐던 매출 비중이 줄어들고, 다양한 질환 영역에서 수익이 발생하면서 품목별 출하 일정에 따른 매출 변동성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9월 말 기준 올리고 부문 수주잔고는 약 2780억원(달러·원 환율 1400원 기준)에 달했다.
스몰 몰리큘(Small Molecule) 부문은 주력 프로젝트인 미토콘드리아 결핍증후군 치료제의 출하 일정이 4분기로 이연되면서 전년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해당 부문 수주잔고는 6월 기준 530억원이다.
메신저 리보핵산(mRNA) 부문에서는 스마트캡(Smart Cap) 등 초기 연구개발(R&D) 프로젝트 중심으로 1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해외 자회사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사업에서는 9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에스티팜은 올해 들어 총 13건의 신규 CDMO 프로젝트를 확보했다. 이 중 9건은 올리고, 4건은 스몰 몰리큘 관련 프로젝트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현재 다수의 글로벌 고객사와 추가 수주를 협의 중"이라며 "4분기에는 미토콘드리아 결핍증후군 치료제의 신약 승인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2올리고동은 지난 7월부터 일부 임상용 시료 생산을 위한 조기 가동에 들어가며 3분기부터 약 15억원 규모의 상각비가 반영됐다.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 ‘STP-0404’는 글로벌 임상 2상 중간 결과를 ‘IDWeek 2025’에서 구두 발표했다. 새로운 올리니(ALLINI) 기전을 통해 기존 치료제 대비 동등 이상 수준의 HIV-1 RNA 감소 효과를 입증했다.
에스티팜은 환율 상승과 수출 비중 확대(연간 누적 매출의 90% 이상)에 따라 2025년 연간 가이던스(3200억원)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현재 환율 수준이 연초 가이던스 산정 시점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우호적인 환경이 지속된다면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