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홈플러스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새주인을 물색 중인 홈플러스가 31일 인수의향서(LOI) 접수 마감일을 맞았다. 인수 후보가 나타날지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이어갈 수 있을지 여부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31일 연합뉴스 보도 등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31일 오후 3시까지 인수합병(M&A) 인수의향서 접수를 받는다. 지난 3월 4일 회생절차 개시 이후 인수자를 찾아왔지만 아직 뚜렷한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초기에는 우선협상대상자를 먼저 찾는는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M&A를 추진했으나 성과가 없자 지난 2일 '공개경쟁 입찰'로 전환했다. 인수의향서가 접수될 경우 다음달 3~21일 예비실사를 거쳐 같은 달 26일 최종 입찰서를 받는다.

문제는 이날까지 인수의향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다. 이 경우 홈플러스의 회생 절차 연장 여부가 불투명해진다. 홈플러스는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지난 6월 3일에서 네 차례 연장해 다음달 10일로 늦춰놓은 상태이며, 5차 연장을 법원에 요청할 계획이다. 그러나 다음달 10일까지 인수의향자가 없으면 법원이 추가 연장을 허용할지는 미지수다.

법원이 회생절차를 폐지할 경우 홈플러스는 재신청할 수 있으나, 인수자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현재 홈플러스는 전국에 대형마트 123곳,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297곳을 운영하고 있다. 파산할 경우 직영직원 2만명과 협력업체 종사자 등 약 10만명의 일자리가 위협받는다.

최근 국정감사 과정에서 농협이 잠재적 인수 후보로 거론됐지만 참여 여부는 불투명하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국감장에서 "농협유통과 하나로유통이 연간 400억원씩 총 800억원 적자를 기록했고, 200명 이상의 직원을 구조조정했다"며 "인수가 어렵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