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산업생산이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설비투자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반도체 경기 회복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31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과 연합뉴스 보도 등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는 115.5(2020년=100)로 지난달 대비 1.0% 증가했다. 산업생산은 4~5월 감소 후 6~7월 반등, 8월 0.3% 감소, 지난달 증가하며 등락을 반복했다.
광공업 생산은 1.2% 감소했다. 반도체 생산이 19.6% 늘며 지난 2023년 3월(26.5%)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자동차 생산은 8.3% 감소하며 2020년 5월(-23.1%) 이후로 5년 4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줄었다.
이두원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8월 급증 이후 기저효과로 빠진 것으로 보인다"며 "자동차 내수·수출 흐름 모두 양호하고 전체적인 물량이 괜찮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생산이 11.4% 늘어 전체 산업생산 회복을 이끌었다. 서비스업 생산도 1.8% 증가했으며, 공공행정 생산은 1.2% 감소했다.
분기 기준으로는 3분기 산업생산이 1.1% 증가해 8분기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투자 지표도 강세를 보였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12.7% 증가했으며, 특히 반도체 기기용 장비기계가 28.0% 급증했다. 선박·항공기 수입 등 기타운송장비 투자도 확대됐다. 건설기성(불변)은 11.4% 늘어 지난해 1월 이후 최대 증가폭을 보였으며, 건축과 토목 모두 각각 14.8%, 2.9% 증가했다. 다만 건설수주(경상)는 지난해 동기 대비 8.6% 감소했다.
경기지표도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달보다 0.2p 상승했고, 앞으로의 경기 상황을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1p 올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