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주식 투자 비중 사상 최초 50% 돌파
채권 비중 줄이고 수익률 높이기 위한 공격적 운용 전환
해외 주식 비중 확대해 위험 분산과 시장 영향력 완화 추진

| 스마트에프엔 = 김효정 기자 | 국민연금 기금이 총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며 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비중 50%를 넘어섰다. 이는 과거 안정성을 중시한 운용 방식에서 벗어나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투자 전략을 전환한 결과다.

국민연금 / 사진=연합뉴스
국민연금 / 사진=연합뉴스

올해 6월 말 기준 국민연금 적립금은 총 1269조1355억 원이며, 이 중 국내외 주식에 투자된 금액은 635조5734억 원으로 전체 자산의 50.1%에 이른다. 10년 전인 2015년 말에는 국민연금 자산 중 채권이 56.6%를 차지했고, 주식 비중은 32.2%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채권 비중이 33.0%까지 줄어든 대신 주식의 비중이 절반을 넘는 상황이다.

이번 변화는 국민연금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채권 비중을 줄이고 위험이 크지만 수익률이 높은 주식 투자 비중을 크게 확대했다는 점에서 기금 운용의 근본적인 체질 변화로 평가된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연금 수령자는 늘어나고 보험료 납부자는 감소하는 현 상황에서 기금 고갈 우려가 커져 높은 수익률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에 따르면 수익률이 단 1%포인트만 상승해도 기금 고갈 시점을 수년 이상 늦출 수 있다.

특히 국민연금의 주식 투자는 국내보다 해외 시장에 더 집중되고 있다. 전체 주식 투자 중 국내 주식은 14.9%(189조 원)인 반면, 해외 주식은 35.2%(446조 원)로 두 배 이상이다. 이는 투자 다변화를 통한 위험 분산과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과잉 영향력 완화를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다. 국민연금이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으나 해외 투자를 늘리면서 시장 왜곡 현상을 줄이고 더 넓은 글로벌 시장에서 수익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다.

국민연금의 이번 주식 투자 비중 50% 돌파는 국내 국민 노후뿐 아니라 한국 경제와 해외 금융시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변화로 평가된다. 1200조 원이 넘는 거대 기금의 투자 전략 전환은 뉴욕과 런던 증시 등 주요 국제 금융시장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