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아이폰 생산 장비 첫 공급하며 협력 확대
아이폰17 인도 생산 확대에 따른 장비 수요 급증 기대
스마트팩토리 등 제조 AI 역량으로 사업 다각화 추진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LG전자가 아이폰 생산 장비를 처음으로 공급하면서 애플과의 협력을 확대했다. 5일 인도 경제매체 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LG 생산기술원이 폭스콘, 타타 일렉트로닉스, 페가트론이 운영하는 인도 공장에 아이폰17 자동화 제조 장비를 납품했다.
기존에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이 애플에 디스플레이와 카메라 모듈 부품을 공급해왔으나, LG전자가 아이폰 완제품 생산용 제조장비를 제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에 공급하던 생산 장비와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술력을 인정받아 이 성과를 이루었다.

아이폰은 연간 약 2억 대가 판매되는 세계 최대 스마트폰 중 하나다. 최근 출시된 아이폰17은 출시 초기 열흘간 전작보다 14% 증가한 판매량을 기록하며 AI 성능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다. 팀 쿡 애플 CEO는 아이폰17의 수요가 "폭발적"이라고 언급했으며, 올해 3분기 애플은 최고 분기 매출을 갱신했다.
애플은 관세 리스크와 인도 내수 시장 성장 대응 차원에서 중국에서 인도로 아이폰 생산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2017년부터 인도에서 아이폰 생산을 시작했으며, 지난해부터는 아이폰16 전 라인업을 인도에서 생산 중이다. 이번 LG전자의 생산 장비 도입은 공급망 변화에 따른 리스크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는 인도에서 애플의 생산 확대에 맞춰 상당한 생산장비 공급이 예상된다. 또한 까다로운 애플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며 안정적인 장비 공급 경험을 확보, 국내외 사업 확장에 중요한 사업 이력을 마련했다. 인도법인의 기업공개와 인도 전용 가전제품 출시 등으로 현지에서 ‘국민 브랜드’로의 도약도 기대된다.
LG전자는 인도 시장에서 단순 판매를 넘어 자본시장과 생산 분야에서 역할을 키우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LG전자가 전통적 가전회사의 이미지를 벗어나 제조 AI,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반도체 생산 설비 공급, HBM 하이브리드 본더 개발 등 다양한 신사업을 통해 제조 역량을 수익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LG전자, 플렉스와 모듈형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개발
- 애플, 아이폰·에어팟에 한국어 실시간 번역 기능 도입
- LG전자, 美관세 이겨낸 펀더멘털···‘질적 성장’ 속도 낸다
- LG전자, 엔비디아와 피지컬AI·디지털트윈 등 미래기술 협력 속도
- LG전자, 3분기 영업익 6889억원···관세·전기차 캐즘에도 가전·전장 최대 실적
- 삼성·LG전자, CES 2026 혁신상 대거 수상···삼성 27개·LG18개 받아
- 애플 제조업 R&D 지원센터, 중소 제조기업 위한 'SME Week' 개최
- LG-벤츠, '전장' 동맹···전방위 협업 확대
- LG전자 온라인몰, 인테리어 제안하는 '홈스타일' 서비스 선보여
- 애플이 다시 1위? 14년 만에 삼성 제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