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드론 운용차에서 소형 드론 수색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사진=울산소방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드론 운용차에서 소형 드론 수색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사진=울산소방본부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매몰된 실종자 2명을 찾기 위한 수색이 5일째 이어지고 있다. 

소방 당국은 소형 드론을 붕괴 구조물 내부로 투입해 탐색했으나 별다른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10일 밝혔다.

현장에서는 5호기 양측에 위치한 4호기와 6호기의 발파 준비 작업이 전날부터 시작되면서 인력을 이용한 직접 수색은 잠정 중단된 상태다. 다만 드론과 구조견을 활용한 비접촉식 탐색은 지속되고 있으며, 구조대원들은 발견 신호가 포착되는 즉시 투입될 수 있도록 현장 주변에서 대기하고 있다.

무너진 5호기 주변의 추가 붕괴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4·6호기 발파 준비도 이어지고 있다. 6호기의 경우 ‘사전 취약화’ 작업이 이틀째 진행 중이며, 4호기는 이미 해당 절차를 마친 상태다. 취약화는 대형 구조물을 철거할 때 한 번에 붕괴되도록 기둥과 철골 일부를 절단하는 작업으로, 6호기는 사고 전 약 75%까지 진행돼 있었다.

전날 오후 재개된 취약화 작업은 야간 안전 문제로 중단됐으며,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0일 아침 안전점검회의(TBM)를 거쳐 작업을 다시 시작할 계획이다. 취약화가 마무리되면 폭약 설치와 발파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발파는 이번 주 초로 전망된다.

4·6호기 발파가 완료되면 중장비 투입이 가능해져 5호기 잔해 제거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에 따라 매몰자 확인 및 구조 작업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붕괴 사고는 6일 발생했으며 총 7명이 매몰됐다. 현재까지 3명의 시신이 수습됐고,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인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