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일반인 혼인 확대
| 스마트에프엔 = 이장혁 기자 | 국내 대기업 오너 일가의 혼인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거엔 정·관계와 사돈을 맺는 '정략결혼'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재계 및 일반인과 혼맥을 잇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총수 일가의 혼맥이 사업을 확장하는데 필요한 연결고리를 만드는 수단에서 벗어나, 서로를 잘 이해하는 기업이나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1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5년 지정 총수가 있는 공시대상기업집단 81곳의 총수일가 중 혼맥 분류가 가능한 380명을 조사한 결과, 오너 2세는 정·관계 혼맥 비중이 24.1%에 달했지만 오너 3세는 14.1%, 오너 4~5세는 6.9%로 크게 감소했다.

2000년 이전에는 총수일가의 24.2%가 정·관계와 혼맥을 형성했지만, 2000년 이후에는 7.4%로 급감했다. 반면, 2000년 이전 39.2%를 차지했던 재계 집안 간 혼맥은 2000년 이후에는 48.0%로 확대됐고 연예인을 포함한 일반 가계와의 혼맥도 24.6%에서 31.4%로 늘었다.
오너 2세 중 정·관계와 새로운 혼맥을 맺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HD현대, LS, SK를 들 수 있다.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은 고 김동조 전 외무부장관 딸인 김영명 씨와 결혼했고 구자열 LS 이사회 의장은 고 이재전 전 대통령 경호실 차장의 딸인 이현주 씨와 결혼했다.
정·관계 혼맥 비중이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데 반해, 기업 간 혼맥 비중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 오너 2세의 재계 집안 간 혼맥 비중이 34.5%에 달했지만, 오너 3세는 47.9%, 4~5세는 46.5%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또한 기업총수 집안과 일반 집안과의 혼맥 비중도 오너 2세 29.3%, 3세 23.3%, 4~5세 37.2%로 꾸준히 늘고 있다.

CJ 오너 4세인 이선호 CJ제일제당 경영리더는 아나운서인 이다희 씨와 결혼했고 현대자동차 4세인 선아영 씨(정성이 이노션 고문 자녀)는 배우 길용우 씨 아들과 혼인했다. 또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자녀 정유미 씨는 일반인과, 정준 씨는 세계적 프로골프선수 리디아 고와 결혼했다.
대기업 혼맥도가 크게 변화한 것은, 과거에는 정·관계와 혼맥을 맺는 것이 사업에 큰 보탬이 됐지만, 최근에는 정치권과 연을 맺는 게 더 큰 감시와 규제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