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생산능력 연간 1GWh 규모 설정
향후 시장 수요 맞춰 증설 방안 검토

오창에너지플랜트에서 '오창에서 시작되는 K-ESS, LFP로 더 안전하게'를 개최하고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후에너지환경부 분산에너지과 현성보 사무관, LG에너지솔루션 ESS cell개발담당 김기웅 상무, 충청북도청 이복원 경제부지사,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 김형식 상무, 커뮤니케이션센터장 김우섭 전무. /사진=LG에너지솔루션
오창에너지플랜트에서 '오창에서 시작되는 K-ESS, LFP로 더 안전하게'를 개최하고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후에너지환경부 분산에너지과 현성보 사무관, LG에너지솔루션 ESS cell개발담당 김기웅 상무, 충청북도청 이복원 경제부지사,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 김형식 상무, 커뮤니케이션센터장 김우섭 전무. /사진=LG에너지솔루션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은 충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와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중국·미국에 이은 LFP 생산 거점을 국내에 구축해 ESS 수요와 공급망을 동시에 겨냥한 행보다.

LG에너지솔루션운 올해 말부터 오창 공장에 ESS용 LFP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초기 생산능력은 연간 1GWh 규모로 설정했으며,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연계해 소재·부품·장비 등 국내 LFP 관련 생태계와의 협업도 병행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비(非) 중국권 기업 가운데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체계를 갖췄다고 한다. 2024년 중국 난징 공장에서 ESS용 LFP 생산을 시작했고, 올해 6월부터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도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북미·유럽 대형 ESS 프로젝트와의 계약을 수주해, 올해 3분기 말 기준 약 120GWh 규모의 ESS 수주 잔고를 확보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난징·미시간 공장에서 쌓은 양산 운영 경험을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적용해 국내 ESS용 LFP 생산 거점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현재 글로벌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LFP 소재 분야에서도 충북도와 국내 소부장 업체들과의 공동 기술 개발, 단계적 공급망 구축 등을 추진해 국내 LFP 생태계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글로벌 ESS 시장에서는 이미 LFP가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등에 따르면 전 세계 ESS 설치 물량의 약 90% 이상이 LFP 기반으로 구축돼 있으며, 향후 비중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ESS용 LFP 제품은 UL9540A 등 관련 시험과 대형 화재 모의 시험을 통해 열폭주 상황에서의 화염 확산 및 인접 모듈 전이 억제 성능을 검증받았다고 설명했다. LFP 셀 특성과 함께 자체 개발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모듈·팩 설계 기술을 결합해 ESS용 제품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오창 LFP 라인 구축과 기존 해외 생산기지 운영을 토대로 ESS 사업 확대를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