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 직거래·새벽배송 결합···농가·소비자 모두 만족한 선순환 구조

쿠팡 ‘못난이 채소’ 직매입 누적 8000톤 돌파 이미지./사진=쿠팡
쿠팡 ‘못난이 채소’ 직매입 누적 8000톤 돌파 이미지./사진=쿠팡

| 스마트에프엔 = 김선주 기자 | 쿠팡이 최근 3년간 전국 농가로부터 직매입해 새벽배송으로 판매한 ‘못난이 채소’ 규모가 8000t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기후 피해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안정적 판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소비자에게는 신선한 채소를 합리적 가격에 공급해 물가 안정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쿠팡은 못난이 채소 매입을 시작한 2023년 1500t, 2024년 3700t, 2025년(1~10월) 2800t 이상을 확보하며 누적 8000t을 넘어섰다. 현재 무·버섯·당근·파프리카·애호박·오이 등 약 20종을 취급 중이다. 특히 강원 평창·정선·태백, 충북 괴산, 전남 해남·함평 등 인구감소지역 농가의 물량 비중이 크다.

못난이 채소는 외형만 규격에 맞지 않을 뿐 신선도와 맛은 그대로다. 쿠팡은 이를 평균 20% 저렴하게 판매하며 매입량을 꾸준히 늘려왔다. 폭염 등 이상기후로 피해를 본 농가에는 큰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경기 용인 ‘군자농원’은 “올해 못난이 표고버섯이 납품량의 30%를 차지했다”며 “물류비 절감으로 고용도 20% 이상 늘었다”고 말했다. 충남 당진 ‘그린팜 영농조합’ 정칠화 대표는 “쿠팡 덕분에 판매가 어려웠던 못난이 무가 효자 상품이 됐다”고 전했다. 경기 이천 ‘송이애’ 농가는 “못난이 새송이버섯의 소비자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며 폐기 비용이 수익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밝혔다.

쿠팡은 산지 직매입 후 자체 물류센터에서 검수·포장해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으로 전달한다. 오전 7시까지 도착하는 배송 방식은 워킹맘 등 소비자 만족도가 높고, 신선물류센터에서 바로 출고돼 품질 유지에도 강점이 있다.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나주·화순)은 “쿠팡의 못난이 채소 매입은 전남 농가의 물류비 부담을 줄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범 사례”라고 강조했다.

쿠팡 관계자는 “물류·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농가의 안정적인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고객에게는 신선하고 합리적인 먹거리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계속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