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현 부회장, 반도체 전쟁 ‘사령탑’ 집중···HBM·파운드리 승부수
노태문 사장, DX부문 재도약의 ‘설계자’···XR·AI·B2B 신사업 뚜렷한 성과
투톱 체제 효과···AI 시대 ‘반도체-세트’ 통합 경쟁력 극대화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왼쪽)과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이 삼성전자 DS와 DX부문 대표이사를 각각 맡는다./사진=삼성전자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왼쪽)과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이 삼성전자 DS와 DX부문 대표이사를 각각 맡는다./사진=삼성전자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삼성전자가 2026년 사장단 인사에서 DS(반도체)·DX(세트) 부문을 각기 맡는 2인 대표체제를 공식 복원하며 확실한 미래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전영현 부회장의 ‘반도체 초격차’ 행보와 노태문 사장의 DX부문 재정비 성과가 결합되면서, 삼성전자가 불확실한 글로벌 IT 경쟁 속에서 기술·제품·사업 혁신을 동시에 가속화할 수 있는 구조로 재편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영현 부회장, 반도체 전쟁 ‘사령탑’ 집중···HBM·파운드리 승부수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사장단 인사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전영현 부회장이 DS부문장과 메모리사업부장에 전념할 수 있는 구조가 완성됐다는 점이다. 기존에 겸직하던 SAIT 원장 직책을 내려놓고 반도체 사업 현안에만 몰입하게 되면서 삼성전자의 핵심 경쟁력인 메모리·파운드리·신소자 분야에서 보다 공격적인 전략 수행이 가능해졌다.

전 부회장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의 부흥기를 이끈 대표적 기술 리더다. HBM·V낸드·DRAM 등 메모리 전 제품군에서 원천 기술과 생산 경쟁력을 확보해왔다. 최근 수년간 글로벌 AI 시장 확대로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에서 삼성전자가 주도권을 되찾아야 한다는 절박한 과제를 안고 있다.

내년부터 본격적인 HBM4 전쟁이 시작되면서, 삼성전자가 기술·수율·공정 미세화에서 확실한 반등을 이뤄야 하는 시점이다. 전 부회장이 R&D·양산·투자 결정을 직접 챙기는 구조가 마련되면서 ‘초격차 회복’에 대한 시장의 기대도 더욱 커지고 있다.

파운드리 분야에서는 미세공정·EUV 활용도·고성능 GPU 고객 확보 등이 핵심 과제다. 글로벌 AI 반도체 수요가 폭발하면서 파운드리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DS부문을 이끌어 온 전 부회장이 사업 중심으로 움직이는 체제를 완성함으로써, 2026년은 삼성 반도체가 반전의 실마리를 마련할 결정적 타이밍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경기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열린 차세대 반도체 R&D단지 NRD-K 설비 반입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경기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열린 차세대 반도체 R&D단지 NRD-K 설비 반입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노태문 사장, DX부문 재도약의 ‘설계자’···XR·AI·B2B 신사업 뚜렷한 성과

이번 인사의 또 다른 중심축은 노태문 사장이 DX 대표이사에 공식 선임되며 세트사업 전반을 이끄는 확실한 리더십을 갖추게 됐다는 점이다. 노 사장은 올 4월부터 DX 직무대행을 맡아 위기 국면 속에서도 과감한 투자와 신사업 확장을 주도하며 내부 신뢰를 확보했다.

최근 주목받은 것은 2조4000억 규모의 독일 플랙트그룹 인수다. 이는 삼성전자가 기존 가전 중심의 B2C 사업 구조를 넘어 데이터센터·산업 인프라 중심의 B2B 시장까지 영향력을 넓히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결정적 사례다. AI 시대에 필수적인 냉각 기술을 확보한 것은 DX부문과 DS부문 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삼성전자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갤럭시 XR 출시도 노 사장의 직무대행 기간에 성과를 낸 대표 사례다. XR은 스마트폰 이후 가장 유력한 차세대 디바이스로 평가되며, 삼성은 퀄컴·구글과 손잡고 생태계를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 여기에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 확보를 통해 경쟁사 대비 빠른 시장 안착을 이뤄냈다는 평가도 나온다.

노 사장이 꾸준히 강조해온 ‘AI 기반 사용자 경험 혁신’도 가전·모바일·TV로 확대되고 있다. 갤럭시 AI의 성공 공식이 세트 전 제품군으로 확장되면서 DX부문의 체질 개선 속도도 더욱 빨라졌다. 삼성전자가 중장기적으로 지향하는 AI 기반 초연결 생태계가 본격 궤도에 오르는 흐름이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이 갤럭시 언팩 2025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 사진=갤럭시 언팩 2025 유튜브 캡처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이 갤럭시 언팩 2025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 사진=갤럭시 언팩 2025 유튜브 캡처

투톱 체제가 가져올 결합 효과···AI 시대 ‘반도체-세트’ 통합 경쟁력 극대화

삼성전자가 이번에 2인 대표 체제를 복원한 것은 단순히 역할을 나누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업 특성에 맞는 전문 경영 체제를 구축해 전체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결정이다.

DS와 DX는 사업구조가 다르지만, AI 경쟁력 측면에서는 서로의 기술이 맞물릴 때 진정한 시너지가 발생한다. 메모리·AP·파운드리·패키징 등 반도체 기술이 갤럭시·XR·가전·스마트홈 제품에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구조가 삼성의 최대 강점이다. 이번 인사는 이러한 수직 계열화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리더십 체계를 완성했다.

전영현 부회장이 반도체 기술 기반을 다지고, 노태문 사장이 이를 바탕으로 AI 기반 제품 혁신을 주도하는 구조가 자리 잡으면, 삼성전자가 AI·XR·스마트 인프라 등 미래 시장에서 애플·TSMC·중국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존재감을 더욱 높일 가능성이 크다.

2인 대표 체제는 위기관리용 임시방편이 아니라, AI 시대의 사업 특성과 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최적화된 전략적 선택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이번 2인 대표체제는 기존 단독 체제에서 나타났던 피로감을 해소하고, 의사결정 속도와 조직 균형을 회복하는 측면도 있다. 

지난 3월 한종희 부회장이 별세하면서 DS와 DX라는 두 개의 거대 사업부는 전영현 부회장 한 명에게 집중됐다. 전 부회장은 DS부문장·메모리사업부장을 맡고 있는 상황에서 SAIT 원장, 대표이사 업무까지 떠안아야 했다. 메모리·파운드리 불확실성이 극도로 높아진 상황에서 세트사업까지 동시에 총괄하는 것은 물리적으로도, 전략적으로도 한계가 컸다는 분석이다.

특히 세트사업은 시장 트렌드 변화와 사용자 경험 중심의 빠른 의사결정이 중요하다. 반면 반도체는 장기투자·수율 안정·기술 초격차가 핵심이다. 경영 방식이 전혀 다른 두 부문을 한 명이 모두 책임지는 구조는 의사결정 지연, 전략 우선순위 왜곡, 현업 집중도 저하를 피하기 어렵다.

삼성전자가 2인 대표체제를 복원한 것은 이러한 업무 과부하와 사업부 간 균형 부족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선택도 일부 해석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전영현 부회장의 기술 중심 경영과 노태문 사장의 사업 혁신 리더십이 결합된 이번 인사를 삼성전자가 반도체 재도약·DX 신성장·AI 시대 리더십 확보라는 세 가지 축을 동시에 잡기 위한 본격적인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