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 생산·공급망 구축 및 관련 사업 기회 모색

왼쪽부터 대한항공 우기홍 부회장과 삼성E&A 남궁홍 대표가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대한항공
왼쪽부터 대한항공 우기홍 부회장과 삼성E&A 남궁홍 대표가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대한항공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 대한항공과 삼성E&A는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MOU 서명식은 전날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 남궁홍 삼성E&A 대표이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번 협약에는 ▲해외 SAF 생산 프로젝트 발굴·검토 ▲SAF 장기 구매(Offtake) 참여 검토 및 상호 지원 ▲SAF 관련 신기술·프로젝트 투자 검토 ▲대한항공의 삼성E&A 'SAF 기술 동맹' 참여 등이 포함됐다. 두 회사는 보유한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SAF 생산·공급망을 구축하고 관련 사업 기회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첫 협력 유력 후보지로 미국을 점찍고 현지 프로젝트 참여 방안을 본격 검토 중이다. 미국은 SAF 생산에 필요한 바이오매스 원료가 풍부하고 관련 기술·인프라가 집적돼 있어 글로벌 SAF 생산 거점으로 평가받는 시장이다.

삼성E&A는 EPC(설계·조달·시공) 역량을 바탕으로 미국에서 추진되는 2세대 SAF 생산 플랜트 건설 사업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목질계 폐기물을 고온에서 가스화한 뒤 액체연료로 전환하는 가스화-피셔 트롭시(FT) 기반 기술 적용이 거론된다. 이 방식은 폐식용유 등 제한된 원료를 사용하는 1세대 SAF보다 폐목재 등 비식용·폐기성 바이오매스로 원료 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대한항공은 해당 설비에서 생산되는 SAF를 일정 물량 이상 장기 구매하는 오프테이커로 참여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오프테이커는 일정 기간 생산 물량을 고정 가격 또는 조건으로 인수해 신규 에너지 프로젝트의 수익성과 금융 조달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 해외에서는 델타항공, 에어프랑스, 유나이티드항공, 아메리칸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 등 주요 항공사가 이 같은 방식으로 SAF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이번 협력은 정부가 추진 중인 6대 전략 산업군 ABCDEF(인공지능·바이오·문화콘텐츠·방산·에너지·제조업) 가운데 에너지 분야 신사업과도 맞물린다. 항공사와 플랜트 기업이 SAF 밸류체인의 수요·공급 측을 나눠 맡아 해외 시장에 동시 진출을 모색하는 구조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탄소중립(넷 제로) 2050 목표와 국제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SAF 도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