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U 도입 검토 소식에 엔비디아 흔들리고 구글·메타 급등

| 스마트에프엔 = 정윤호 기자 | 뉴욕증시가 엔비디아 급락에도 불구하고 AI 관련 기대감과 금리인하 전망에 힘입어 상승세로 마감했다. 메타가 구글의 텐서처리장치(TPU)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시장의 방향을 갈랐다.
25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664.18포인트(1.43%) 상승한 47112.45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60.76포인트(0.91%) 오른 6765.88, 나스닥종합지수는 153.59포인트(0.67%) 상승한 23025.59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시장의 초점은 AI 산업 구조의 변화였다. 구글의 제미나이 3.0 공개와 TPU 확장성 논의가 이어졌고 여기에 메타가 구글의 TPU 도입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더해졌다.
미국 IT 전문매체 더 인포메이션은 “메타가 2027년 데이터센터에 구글 TPU를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메타는 그간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대규모로 구매해 왔다. 하지만 TPU 전환 가능성 소식이 전해지면서 엔비디아 주가는 장중 7% 이상 급락했다. 이후 낙폭을 2.59%로 줄였으나 시장에서는 AI 산업이 더 이상 엔비디아 중심으로만 돌아가지 않는다는 인식이 퍼졌다. AMD 역시 4% 넘게 하락했다.
반면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1% 이상 상승했고 메타는 3.78% 급등했다. 메타는 대규모 설비투자 계획 발표 이후 최근 한 주간 주가가 20% 가까이 떨어졌으나 TPU 도입 가능성으로 비용 부담 완화 기대가 커지며 반등했다.
LNW의 론 알바하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컴퓨팅 비용이 낮아지면 소비가 확대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메타의 구글 칩 구매 검토는 AI 산업 전반에 긍정적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브로드컴도 AI 반도체 시장 기대감에 힘입어 2% 가까이 상승했다. 회사의 시가총액은 1조8180억달러에 이르러 테슬라와 메타를 앞서며 ‘매그니피센트7(M7)’을 대체할 신흥 강자로 부상했다.
미국 경제지표는 연방준비제도의 12월 금리인하 기대를 높이는 방향으로 나왔다.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3% 상승해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다. 9월 소매판매는 0.2% 증가에 그쳐 전망치 0.4%를 하회하며 소비 둔화가 확인됐다.
알바하리는 “지난주까지만 해도 12월 금리인하 확률은 40%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80%를 넘어섰다”며 “시장이 이 문제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은 82.7%로 반영됐다.
한편, 업종별로는 의료·건강 부문이 2% 이상 오르며 가장 강세를 보였다. 산업, 금융, 임의소비재, 통신서비스, 필수소비재도 모두 상승세를 나타냈다. 기술주 내 투심이 엇갈린 가운데 전통 산업주 중심의 매수세가 집중되며 다우지수가 1% 이상 뛰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