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식약처는 광주광역시와 매일유업 광주공장에 대한 현장 조사를 진행했고 제품 수거·검사와 해썹(HACCP) 불시 평가를 병행 실시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문제가 발생한 제품의 생산 시점을 고려해 지난 7월 1일부터 현재까지의 생산제품 이력을 전수조사한 결과 9월 19일 오전 3시 38분께 멸균기 밸브가 약 1초간 열려 제품 충전라인에 세척수(2.8% 수산화나트륨)가 혼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1초당 우유 제품 최대 50여개가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멸균기는 충전라인과 분리돼 있지만, 멸균기의 내부 세척 작업 진행 중 작업자 실수로 충전라인과 연결된 멸균기 밸브가 열려 세척수가 제품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식약처는 문제가 된 제품과 동일한 생산라인에서 제조되는 다른 일자 제품 및 다른 생산라인에서 제조되는 수거 가능한 제품(30개)을 수거해 성상·산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적합 판정됐다고 전했다.
이번 일은 지난 12일 한 대기업 연구소에서 사내 급식으로 매일우유 오리지널 멸균 200㎖ 제품을 받은 일부 직원이 복통, 냄새 이상, 변색 등을 신고하면서 확인됐다. 전날 기준 매일유업은 1만5000개 이상의 제품을 회수했다.
매일유업은 16일 웹사이트에 김선희 대표이사 부회장 명의로 사과문을 올렸다. 사과문에는 "생산 작업 중 밸브 작동 오류로 세척액이 약 1초간 혼입된 것을 확인했다"며 "이때 생산된 제품은 약 50개로 특정 고객사 한 곳에 납품된 것을 파악했다"고 전했다.
홍선혜 기자 sunred@smartfn.co.kr
- 매일유업, ‘바리스타룰스 무라벨 커피’ 용기 리뉴얼…플라스틱 저감화 확대
- 매일유업 상하공장-고창군생태관광주민 사회적협동조합, 운곡람사르습지 논둑복원 사업 전개
- 매일유업, 中알리바바와 맞손...선천성 대사질환자용 분유 공급
- 매일유업, ‘소화가 잘되는 우유’ 누적판매량 8억개… "지구 2바퀴 돌았다"
- 수입산 멸균우유 수요 ↑···국내 유업계 대책은?
- 상하농원, 독일 정통방식 햄·소시지 출시
- 폴 바셋, ‘Paul & meal°’매장 리뉴얼 오픈
- 매일유업, 소아암환아에 멸균 아이스크림 지원
- 매일헬스뉴트리션, 유청단백질 열 안정성 기술 및 제품 개발 연구성과 발표
- "설탕이 없어요"···매일유업, '우유속에' 가공유 3종 리뉴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