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 개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12일 서울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에서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자동차 제동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사고기록장치(EDR)와 교통사고 조사 절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발표 내용은 급발진 의심 사고와 관련된 EDR과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 원리, 교통사고 조사 기법과 절차에 관한 구체적 설명과 대안 제시 위주로 구성됐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의도치 않은 급가속 현상이 인명사고로 이어져 사회적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이에 국민들의 급발진 의심 사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설명회로 향후 급발진 의심 사고 예방에 더욱 힘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영석 한라대학교 교수는 EDR 발표자로 나서 "EDR은 교통 사고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로 해상도가 충분하지는 않을 수 있지만 가속페달 작동,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작동 여부 등을 확인하기에는 충분한 장치"라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EDR은 교통사고를 분석하는 주요 도구로서 해외와 국내에서 그 신뢰성은 수만 건 이상의 사고 분석 결과를 통해 검증됐다"며 "EDR 데이터 분석도를 높이기 위해 저장하는 데이터 항목을 추가하는 기준 개정이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는 '급발진 의심 사고 분석 절차' 발표에서 "급발진 의심 현상은 가속 케이블 고착, 플로어매트 간섭, 엔진오일의 흡기 유입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급발진 의심 현상은 운전 경력과 무관하게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며 "대부분은 휴먼 에러(Human Error)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조민제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은 '경찰청 공학적 교통사고 조사 및 사례' 발표에서 "급발진 등 사회적 이슈가 있거나 대형 사고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도로교통공단으로 이관돼 정밀한 분석이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김동하 기자 rlaehdgk@smartfn.co.kr
